제조업군, "PCS티켓" 향배 "안개속"

삼성과 현대가 개인휴대통신(PCS)사업에서 전격적으로 손을 잡는 등 사업권을 둘러싼 재벌들의 짝짓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2장의 티켓을 놓고각군별 경쟁 구도와 우열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우선 빅4간의 대결로 관심을 끌었던 장비제조업체군의 경우、 재계 1.2위인삼성.현대의 연합부대와 독자 추진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LG그룹、 그리고대우그룹등 3파전 구도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한때 거론됐던 LG-대우 연합 가능성은 LG측이 독자 추진의사를 명확히 밝힘에 따라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 어느쪽이 유리한 것인지를 점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삼성-현대의 "세몰이" 전략이 사업권 심사단으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을지가열쇠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 삼성-현대 연합군측은 "재벌의 경제력 집중 완화등 정부의 입맛에 가장 잘 들어맞는 떡을 만들어냈다"고 자신만만한 표정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양대재벌이 가진 자본력과 기술력이 합해질 경우 시너지 효과는 재계3위인 LG그룹이 당해낼 수 있겠느냐는 주장이다. 중소기업 육성책에서도최고의 솔루션을 가지고 있다고 장담하고 있다.

그러나 양대재벌의 연합이 반드시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지 않는 주장도만만치 않다.

"삼성-현대의 연합이 재벌의 경제력 집중 현상을 완화시킨다는 논리는 맞지않는다. 양 재벌이 컨소시엄의 40%지분을 나눠 가지게 될 경우 오히려 중견.중소기업에 돌아가는 몫이 줄어들게 된다"

양대 그룹의 전격 제휴 발표 이후 LG그룹의 공식적인 논평이다. 현재 LG측은삼성-현대의 연합에 대응하기 위해 자사의 지분을 30%이하로 줄이는 방안까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70%이상을 중견.중소기업에 배분하겠다는의미다.

LG측은 또 소유.경영 분리라는 전략이 결코 대외 경쟁력 확보를 담보하는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책임 경영이 뒤따르지 않는 한 경쟁력을 갖춘통신사업자를 만들어 낼 수 없다는 논리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PCS사업자 선정이 기술력을 중요시 하고 있고 *삼성.

현대.LG 3사가 국내 무선통신 기술의 뿌리인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비군의 사업권 경쟁은 삼성-현대 연합의자본력과 LG의 기술력간의 싸움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비제조업체군도 대체적인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한솔그룹이 교환기 업체를가지고 있는 한화그룹과 손을 잡았고、 효성과 금호그룹이 제휴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분야 사업권의 변수는 독자 추진을 포기한 데이콤의 향배이다. 데이콤은현재까지 금호-효성 연합에 합류하는 방안과 한솔-한화 연합에 참여하는방안을 놓고 저울질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데이콤이 양 연합에"지배주주에 준하는 옵션"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데이콤이 요구하는 옵션은 "수도권 지역 영업권"으로 이들 연합이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들이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사업계획서 제출 시한이 한달도채 남지 않았다는 상황을 고려할 때 데이콤역시 금명간 최종 진로를 결정해야할 입장이어서 비제조군의 경쟁 윤곽 역시 이번주를 기점으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비제조군에서의 예상은 우선 데이콤이 특정 컨소시엄에 합류할 경우、한솔-한화과 금호-효성의 2강과 중소기업협동조합 중앙회의 1약 구도로 굳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또하나 고려해야 할 상황은 장비군(1군)과 비장비군(2군)의 사업자선정작업이 전혀 별개의 사안으로 진행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1군에서 삼성-현대 연합을 선정하면서 동시에 한솔그룹을 2군사업자로 뽑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마찬가지로 1군의 LG그룹과 2군의 데이콤이 속한 컨소시엄을 동시에 선정하는 일을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로 남이 아닌 것으로 추정되는" 두개의 그룹에 PCS라는 엄청난 이권을동시에 허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2개의 PCS사업권은 "삼성-현대 연합"과 "한솔이 참여하지 않는2군 컨소시엄" 또는 "LG"와 "데이콤이 참여하지 않는 2군 컨소시엄"에게 돌아갈 공산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최승철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