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업체 난립, 업체간 과당경쟁 우려

지자체 출범이후 소각로.상하수도 등 환경분야의 DCS(분산제어장치) 수요 가점차 늘고 있는 가운데 DCS업체들이 난립、 덤핑수주가 빈발하는 등 업체 간의 과당경쟁이 우려되고 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DCS부문의 사업을 추진중인 업체는 LG산전 LG하니 웰코오롱엔지니어링 효성중공업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포스콘 등 주요 산전업 체들을 포함、 13~15개 업체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올들어 크게 늘고 있는 환경분야 등 정부 발주물량을 비롯、 공장자동화 등 전 수요물량에 대한 가격인하 경쟁이 가속화돼 정부발주물량의 경우 업체가 추정하는 적정 낙찰가격의 60~65%、 일반기업들이 발주하는 공 장자동화수요의 경우 70%선에 각각 공급가격이 결정되는 등 업체간의 과당 경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참여업체의 난립현상이 가속화되고 시장수요도 최근 2년여 동안 정체현상을 보이는 등 예상에 크게 못미치고 있는데다, 특히 업체들이 사업수주를 위해 시스템 성능이나 기능에 관계없이 저가입찰에 나서고 있기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정부발주물량의 경우 사전입찰자격심사(PQ)없이 입찰을 실시 가격위주의 업체선정이 계속되고 있는 것도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가 발주한 일산 신도시 열병합발전소 등 일부 DCS의 경우 당초설치한 DCS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시스템을 교체하는 등 부실시공 에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외국산 제품을 도입、 시스템 구축능력 이없는 업체들까지 입찰에 참여하는 등 시장규모에 비해 많은 업체들이 사업 에참여하는 등 난립현상을 보이면서 최근들어 저가 덤핑수주가 계속되고 있다 고 말하고 "정부가 발주한 물량만이라도 사전입찰자격심사를 실시、 저가 덤핑수주로 인한 부실을 방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창훈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