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세계 최초로 전화기를 개발한 것은 1876년이 다. 그후 1백20년이 흐른 지금 전화기는 광다이얼.유무선 겸용.자동응답 전화기 등으로 모습이 다양해졌다. ▼세계적으로 전화사업은 이제 치열한 경쟁 분야의 하나다. 한국의 전화 가입자도 1천8백만명을 넘어섰다. 가입자가 늘 자전화기사업은 이익을 낼 수 있는 유망분야로 떠올랐다. 우리도 시내전화와 시외전화、 그리고 국제전화가 독점이 아닌 경쟁체제로 바뀌고 있다. ▼미국 AT&T는 세계통신시장을 지배하는 빅3중의 하나다. 이 업체의 한국법인이 최근 자사교환기를 한국통신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건의서를 냈다. 그동안 교환기 구매인증 문제로 한.미간에 빚어졌던 마찰이 멈추지 않고있다. 그러나 국내통신 수요가 계속 늘고 있어 이번 마찰은 끝이 아닌 시작에 불과하다. ▼오는 98년이면 우리는 통신시장 문을 활짝 열어야 할 형편이 다. 문제는 그 안에 우리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외국업체에게 좋은 일만 시켜주는 결과를 낳는다. 통신업체들의 지상과제는 바로 경쟁력 확보임을 인식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이슈플러스] 네이버·카카오, 올해 신규 AI 서비스 쏟아진다
-
3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4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5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6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7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8
기아, 첫 전기 세단 'EV4' 디자인 공개…내달 출격
-
9
'아무나 하는 게 아니었네'…신생 배터리 기업들 美 투자 줄줄이 취소
-
10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