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정보유실 파수꾼 백업스토리지 시장점검 (3)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날로 확산되면서 백업이 필요한 데이터의 용량 역시 증가하고 있다.

PC네트워크상에 저장돼 있는 데이터중 백업이 필요한 용량의 증가세는 지난9 3년에 평균 7.2GB이었던 것이 올해에는 18.3GB、 오는 97년에는 41GB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상에서도 93년 46GB에서 올해 96GB로 증가할 것으로보이고 오는 97년에는 1백38GB까지 백업용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백업스토리지관련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되고 있다.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업체도 엑사바이트、 HP、 코너、 왕텍、 탠드버그 등을 비롯해 다양하다. 백업관련 스토리지관련기술의 발전을 위해 개발자들이 가장 역점을 두는 분야는 다른 모든 스토리지와 마찬가지로 용량확장과 데이터처리속도의 단축.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장 빠른 시간에 저장시켜 백업에 필요한 시간 및 인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발자들의 가장 큰 당면과제다.

개발자들의 이같은 노력에 의해 최근 몇년동안 백업스토리지는 데이터용량과 처리속도면에서 많은 발전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백업스토리지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테이프의 경우 QIC(0.25인치 카트리지)를 비롯해 4mm、 8mm、 0.5인치 테이프등과 관련한 다양한 신기술 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가격은 가장 저렴하지만 데이터저장용량이 작아 일반대중들에게로의 파급속도가 기대에 못미쳤던 QIC의 경우엔 최근 데이터용량을 2배로 압축시킨" 트라반 기술"이 발표돼 많은 주목을 받았다.

휴렛팩커드를 비롯해 코너페리퍼럴즈.아이오메가 등의 하드웨어관련 기업과3 M.소니 등의 생산업체가 이의 연구에 매진, 오는 97년에는 50GB이상으로 데이터용량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0.5인치의 경우엔 IBM이 최근 데이터의 용량을 3배로 압축시켜 데이터 백업 속도도 3분의 1로 감소시킨 것을 비롯해 데이터용량이 기존제품의 12.5배로 향상된 "뉴 롱디튜드 리코딩방식"을 채용한 테이프드라이브 신모델도 개발했다. 데이터기록밀도가 높아 대량의 데이터저장과 빠른 데이터처리속도로 대용량 데이터저장에 있어서는 왕좌를 유지하던 "핼리컬스캔방식"에 정식도전장을 낸 것이다.

"핼리컬스캔방식"의 경우 헤드와 테이프의 마모가 많아 "뉴 롱디튜드 방식" 의 테이프드라이브 보다 수명이 짧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각종 디지털영상 데이터 저장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두 방식사이에는 데이터호환이 안되는데다 업체들의 견해 또한 달라 두 저장 방식을 놓고 업체간 한판승부가 기대되고 있어 0.5인치 테이프드라이브의 기술발전은 눈부실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 고속의 데이터 보관에 유리한 DLT드라이브도 이미 3백GB의 데이터용량을 넘어선 상태다.

데이터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의 보존능력이 뛰어난 광자기매체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테이프와 달리 미국보다는 일본지역에서 연구활동이 주로이뤄지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레이저와 자기시스템을 사용하는 MO방식의 광자기드라이브와레이저만으로 광을 디스크의 기록층에 투사、 기록층의 상태를 변화시켜 정보를 처리하는 상변화방식 ODD가 팽팽하게 대결구도를 펼치고 있다.

소니.리코.후지쯔진영이 각각 MO방식을 지원하는 반면 상변화방식은 마쓰시타.NEC.도시바진영이 진을 치고 있다.

광자기매체는 5.25인치뿐 아니라 3.5인치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일반대중을 겨냥한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시스템의 발전 또한 빠르게 이뤄져 데이터를 검색정도와 중요도에 따라 분류 、 디스크와 테이프 등에 차별적으로 보관하는 HSM방식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비롯한 다른 저장매체들의 발전속도에 못미친다는 일반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백업스토리지산업은 개발자들의 이같은 노력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백업스토리지의 경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정확 한 시장파악은 어려우나 전체저장매체시장의 10%정도를 점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

미국시장의 경우 전체 PC중 10%정도에 백업드라이브가 기본장착되거나 옵션 으로 제공되고 있고 일반슈퍼마켓에서도 백업은 일반화돼 있는 상황이다. 백업에 관해서는 거의 무방비상태인 우리와는 좋은 대비를 보이고 있다.

<김윤경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