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계획수립을 위해 수요조사중인 "기술하부구조 확충 5개년계획" 에 전자산업의 기술기반 조성사업으로 전자.정보산업의 표준화와 기술정보제 공시스템의 구축、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 및 교육기관의 파일럿플랜트 건설 등을 포함시키는 방안이 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자공업진흥회는 25일 전자산업의 "기술하부구조 확충 5개년계획"으로 표준 화와 기술정보 확산、 기술인력 양성、 국제기술 협력 등 4개 사업을 제시하면서 특히 정부의 전자산업 정책이 정보통신.핵심부품 등 취약분야에 대한 기술집약형 전문기업 및 인력육성 등 기술혁신 기반구축에 모아져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3면>현재 전자부품을 중심으로 추진중인 전자.정보산업 표준화 사업의 경우 우선 개념정립 단계인 부품 및 중간재료 등의 표준화쪽에 집중적 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관련기관과 수급기업간 원활한 협조체제를 구축、 표준화 정보교류를 통한 최적의 규격연구와 함께 관련기업 및 기관들이 품목별 전문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자진흥회는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00년까지 5년간 13억원이 소요되는 1백6 0개 과제에 대한 표준화 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기술정보시스템의 구축은 내년부터 2000년까지 28억4천만원을 투입、 기술정보는 물론 그 기술의 시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각종 주변산업정보까지 동시 에 제공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하고, 특히 정보조사 및 분석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한다는 것이다.
전자진흥회는 또한 이는 공공DB성격이 강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없이는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관련기관 및 업체 관계자들로 구성 된 추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파생정보별로 3개 실무위원회를 가동시켜 이를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기술인력 양성사업은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쪽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등에 파일럿플랜트를 건설해 기술력이 취약한 업체들에 대한 위탁교육과 산.학.연 공동개발사업 등을 통해 기술기반을 다져가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다.
국제기술협력사업으로는 우선 전자분야에서 당장에 풀어야 할 숙제인 EU의본격적인 CE마크 시행에 대비、 오는 98년까지 1백38억원을 투입해 국내에 EMS 시험장비를 갖추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장.단기 전략으로 통상압력 및 기술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연구개발 활동의 국제화、 기술인력의 국제교류 활성화、 선진기술 활용체제 강화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기틀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윤재 기자>
많이 본 뉴스
-
1
켐트로닉스,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시동…“인수한 제이쓰리와 시너지 창출”
-
2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3
“美 트럼프 행정부, TSMC에 '인텔과 협업' 압박”
-
4
온순한 혹등고래가 사람을 통째로 삼킨 사연 [숏폼]
-
5
"불쾌하거나 불편하거나"...日 동물원, 남자 혼자 입장 금지한 까닭
-
6
트럼프 취임 후 첫 한미 장관급 회담..韓은 관세·美는 조선·에너지 협력 요청
-
7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8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9
아모레퍼시픽, 'CES 화제' 뷰티 기기 내달 출시…“신제품 출시·글로벌 판매 채널 확대”
-
10
“시조새보다 2000만년 빨라”… 中서 쥐라기시대 화석 발견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