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산부 "CALS"도입 배경과 전망

통상산업부의 이번 CALS체계 도입계획은 정보화시대에 따른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언하는 첫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특히산업활동의 글로벌 네트워크 체제에 효율적으로 진입하는 새로운 수단 으로 CALS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선진외국에선 CALS 개념이 민간업체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다국적 방위산업체와 록히드、 GE、 AT&T등 정보통신업체들이 자사의 CALS 구현 제품과 기술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홍보와 판매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보통신진흥협회의 EDI협의회내에 CALS분과위원회가 활동중이며 현대、삼성항공、한진등 일부 대기업이 CALS체계 구축을 위한 조사연구에 착수했으나 아직 가시화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CALS는 원래 80년대초에 미국방성이 국방예산낭비의 가장 큰 요인이 열악한 통신체계와 많은 문서량때문이라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한 무기체계 획득및 군수지원 전산화(Computer-aided Acq-uisition and Logistic Support 라는 개념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그리고 88년에 국방성은 CALS 구현지침을 발표하고 88년 9월이후에 개발되는 모든 무기.장비에 대해 CALS를 적용토록 했으며 현재 무기체계획득관리규정 에 명문화해 놓고 있다.

이러한 개념이 북아메리카와 NATO국가를 중심으로한 유럽지역 환태평양지역등으로 확산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CALS적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왔고 최근에는 민간부문에서 엔터프라이즈 CALS라는 통합시스템의 개발、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미국은 국제적으로 CALS를 리드해 가기위해 유럽、 호주등과 공동으로 국제CALS기구를 창설하고 지역별 전시회까지 개최하고 있다.유럽도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등은 CALS관련 정부조직을 구성했으며 방위산업과 정보산업、대규모 제조업을 중심으로한 민간단체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통산성이 주도가 돼 올해를 CALS구축원년의 해로 정하고 PALS (Product Acquisition a-nd Lofecycle Support)라는 프로젝트를 별도로 마련해 CALS에 대한 연구개발사업을 정책적으로 추진하는등 범국가적 차원의 CAL S정책을 본격적으로 펼치기 시작했다.

이처럼 CALS가 전세계 국가와 민간으로 확산되면서 그 개념은 체계 연속획득 및 수명주기지원(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과 물류거래 통상 의 신속화(commerce at the light speed)로 발전되고 있으며 무기체계를 다루는 국방부와 방산업체뿐 아니라 물자를 제조하고 취급하는 모든민간부서 통상산업 정보통신、 교통건설、 재정경제 관련부서)와 민간기업 의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통산부의 CALS체계 구축계획이 관심을 집중시키는 이유도 이같은 세계적 추세에 뒤늦게나마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되기때문이다. 또 현재 통산부 중심으로 추진중인 산업정보화 사업에 CALS를 접목시킬 경우산업계에 일대 혁명을 불러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례로 미국의 CALS산업진흥회가 최근 제조업체 1천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신제품의 개발기간을 단축시키는데 82%의 효과를 거두었으며 평균 2백장이 들어갔던 설계도면은 3장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생산공정에선 6주가 소요됐던 조립공정이 2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고 불량률은 종전보다 6배정도 개선되는등 전 과정에서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즉 CALS는 생산공정의 개선과 정보기술의 통합및 생산기술 데이터의 표준화 를 통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춘 전자거래를 진흥하고 기업간 통합구도를 실현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뿐 아니라 보다 신속한 제품의 시장공급과 구매、 상품의 질적 향상및 사후지원、 저렴한 상품가격 유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보인다. 통산부가 CALS협력위원회를 구성하고 연구조합을 설립하는등 본격적인 연구 기획에 나서면서 오는 4월에 서울에서 열릴 한.일 멀티미디어산업협력을 위한 제2차 실무회의에서 양국간 CALS협력방안을 논의키로한 것등은 이제 우리나라도 CALS에 대한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필요성을 절감했다는 증거라 고할 수 있다. <이윤재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