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부 직업기술교육 체제 개편

정부가 국내 산업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전문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전반적인 직업기술교육 체제개편에 착수했다.

7일상공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기술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통해 산업발전에 부응하고 국제화.정보화추세에 대응한다는 방침을 확정하고 공업고등학교를 비롯한 실업고졸업자가 전문대학, 기술대학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 체제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관련,현재 전체 고교학생의 10%수준에 머물고 있는 공업계고교의 수용 능력을 2000년까지 20%선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 공업계 고교교육 개 편안을 마련, 금년부터 시행에 옮겨갈 방침이다.

특히정부는 공고의 질적 개선을 위해 현재 3년간 학교교육위주로 운영 되고있는 교육방식을 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고 기업체에서 1년간 현장 훈련을 받는 "2+1체제"로 개편하여 산업현장 훈련을 제도화하기로 했다.

또한교육 과정을 이론.개념중심에서 직무.기능중심으로 전환 하고 주간제와야간제의 운영방식에 계절제를 추가도입할 계획이다.

정부는이같은 체제 개편을 금년부터 시범적으로 운영한 후 97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함께전문기술 인력의 집중양성을 위해 전문대학 입학시험방법을 개선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출신자 중심으로 전체정원의 30%이상을 인문과목시험 없이 특별전형으로 입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원과 관계없이 산업체근로자 및 실업계고교 졸업자들이 전문대학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위탁 교육제도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또 금년중에 산업기술대학법을 제정하여 기술대학제도를 도입할 계획 인데 95년도에 설립될 기술대학의 졸업자에게는 일반대학과는 다른 전문학위 를 수여할 계획이다.

이밖에기업체 훈련시설확충에도 적극 나서 금년부터 97년까지 1백개의 기업 체훈련원을 신설하고 1백87개 기존훈련원의 인력을 확충, 기업이 인력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위해 직업훈련촉진기금.산업은행설비자금.재정융자특별회계를 재원으로 5천7백억원의 자금을 마련하여 장기융자형태로 지원키로 했다.

또중소기업의 기능인력확보를 돕기 위해 산업인력공단에서 건설중인 공동훈련원을 대한상공회의소로 이관하여 자체 훈련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의 인력개발을 지원키로 하고 상공회의소내에 직업훈련전담조직을 설치하는 한편 중앙 과 지방단위에 민.관협의체를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