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세계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의 차세대 격전지로 꼽히는 '피지컬 AI' 분야를 국가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야 하는 피지컬 AI 관련 대형 사업 기획에 앞서 전략분야·중점과제 도출 등 사전기획 연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피지컬 AI 핵심기술개발사업 예타 사전기획 연구용역'을 이르면 이달 발주한다.
피지컬 AI는 휴머노이드 로봇·자율주행차와 같은 물리적 기기에 탑재되는 AI를 뜻한다. 산업 전반의 자동화·지능화 수요를 중심으로 새로운 융합 생태계를 형성하는 기반 기술로 주목받는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은 이미 피지컬 AI를 국가 전략기술로 간주하고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우리 정부도 피지컬 AI 기술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3월 피지컬 AI, 바이오 등을 중심으로 12대 국가전략기술 체계와 임무중심 전략 로드맵을 민관합동으로 개편·재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IITP는 피지컬 AI를 국가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선 예타 규모 대형 사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총 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한다.
IITP는 이번 연구 용역을 통해 피지컬 AI 연구개발(R&D) 분야의 차별성·타당성을 갖는 신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신규 R&D 사업 예타조사 관련 전반적인 프로세스별 추진계획 제시 △피지컬 AI 분야 정책·기술·산업·시장 동향 및 대내외 환경 등 사전 분석 △신규사업 추진을 위한 세부계획 및 전략 수립, R&D 사업 차별성 및 타당성 분석 등 지원 △예타조사 관련 대응 지원 등을 하도록 한다.
IITP 관계자는 “피지컬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피지컬 AI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선 대규모 국가 R&D 지원이 필수”라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해 이르면, 내년 예타 대상 사업 선정 신청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