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혁신으로 美 보호주의에 응수해야” 美 싱크탱크의 조언

Photo Image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우리나라가 기술혁신 전략으로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에 응수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미국 기술혁신 싱크탱크인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의 로버트 앳킨슨 회장이 22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진행된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에 참가, '트럼프 2.0 시대, 한국의 새로운 성장 전략' 주제의 기조연설에서 밝힌 견해다.

앳킨슨 회장은 이어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을 '트럼프이즘으로 명명하며 “트럼프는 더 이상 무역 적자를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어차피 미국은 자급자족만으로도 충분한 경제 규모를 갖고 있어 한국도 수출 전략만으로 대응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 중소기업의 부가가치가 낮아 대기업과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기업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hoto Image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기정통부 제공

해법으로는 기술혁신 기반 전략을 제시했다. 기업별 임금 등이 다른 구조를 해소하고 첨단기술 기반 창업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번 행정부 2기 출범에 따른 한미 기술정책 동향 및 전략 분석, 과기협력 강화를 목표로 마련됐다. 각종 연구개발(R&D) 동향 및 협력 논의도 이뤄졌다.

행사에 앞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도 과학기술혁신 주무 부처로 범부처와 민간기업, ITIF 등 글로벌 싱크탱크와도 협력해 대한민국 기술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Photo Image
이광형 KAIST 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이광형 KAIST 총장은 ”우리는 예측 어려운 카오스시대 살아가고 있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변화와 미중 갈등은 국제사회를 불확실한 방향으로 이끌고 있지만 무질서한 상황 기저에는 과기 중요성이라는 일관된 프레임이 존재한다“며 ”한국은 조선 언자력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 보유하고, 이는 미국이 필요한 분야와 맞닿아 한미 협력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