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상공회의소(회장 한상원)는 올해부터 지역 가전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가전내일청년 특화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용노동부와 광주시가 지원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주의 핵심산업인 가전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청년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원 대상은 광주시에 소재한 가전산업 관련 제조기업과 해당 기업에 정규직으로 채용된 만 39세 이하 청년 근로자다. 사업은 크게 '기업지원'과 '청년지원'두 분야로 나누어 운영한다.
기업지원 분야는 청년 신규채용에 따른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채용장려금', 청년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안전워크업 사업', 휴게시설 등 복지 편의시설 확충을 지원하는 '공동이용시설 개선 사업' 등이다.
청년지원 분야는 신규 입사자의 초기 이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안착지원금'과 가전기업에서 일정 기간 근속한 청년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성장지원금'으로 운영한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채용장려금은 만 39세 이하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기업에 근로자 1인당 월 100만원씩 최대 6개월 간 총 600만원을 지원한다. 안전워크업 사업은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비용으로 기업당 최대 2000만원까지, 공동이용시설 개선 사업은 휴게시설 등 편의시설 확충 비용을 기업당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청년 대상 지원사업인 안착지원금의 경우, 신규 채용된 청년 근로자가 입사 후 3개월 및 6개월 이상 근속 시 각각 100만원씩 최대 200만원을 지급한다. 성장지원금은 2년이상 3년 이하 재직한 청년이 2개월 및 5개월 이상 근속할 경우 각 100만원씩 최대 200만원을 지원한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일자리 지원을 넘어 청년의 장기 재직을 유도하고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가전산업의 인력난 해소는 물론, 청년 인재의 지역 정착과 고용안정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