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밸류업 '반짝'···상생금융 '조기 등판' 변수로

Photo Image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민주당-은행권 현장 간담회'가 20일 서울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기념촬영 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2025. 1.20

4대 금융지주 기업가치가 이번 주 실적발표를 앞두고 상승 기류를 타고 있다. 다만 대통령 선거가 본격화하며 은행권을 향한 상생금융 압박은 더욱 거세져 '밸류업'을 낙관하기만은 어려운 상황이다.

21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금융)에 따르면 이들 지주 주가는 지난 주 월요일보다 높게는 8% 이상 오른 가격에 거래를 마쳤다. 21일 종가 기준 KB금융지주는 8만2800원으로 지난 주 월요일 종가 7만6100원보다 8% 이상 올랐다. 신한지주 주가는 지난 주 월요일 종가 기준 4만6250원에서 4만8700원으로 약 5% 이상, 하나금융지주 주가는 5만5600원에서 5만9700원, 우리금융 주가는 1만6030원에서 1만6990원으로 상승했다.

4대 금융지주는 24일 KB금융을 시작으로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 1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총 4조8800억원 수준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4% 가깝게 증가해 역대 최고치에 근접한 규모를 달성했다. 1분기 실적과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 그리고 이어진 자사주 매입 ·소각 움직임에 기업가치가 일시 반등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이 같은 흐름이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당장 은행권은 이달부터 조기대선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지난 17일 은행법 개정안을 은행법 개정안'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했다. 이 법안은 은행이 가산금리에 각종 보험료와 출연료를 넣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골자다. 가산금리 제외항목에는 △지급준비금 △예금자보험법상 보험료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금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 출연금 등이 포함된다.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심사(최장 180일)와 본회의 심사(최장 60일)를 거쳐 본회의에 자동 상정된다.

은행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대출금리를 산출하는데 이 법안이 통과되면 금리를 조절 하는데 제한이 생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정책 조언 그룹(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도 최근 금융산업 아젠다 도출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상생금융'을 강화하는 안이 유력하다. 이 후보는 이미 2023년 은행 초과 이익을 환수하는 내용을 담은 '횡재세' 법안을 추진했다. 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인 지난 1월 은행장들을 만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 방안을 충실히 잘 이행해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 후보 측이 공약으로 준비하는 상생금융은 은행이 이익 일부를 공적기금으로 출자하는 방안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관세전쟁 등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이 산업에 자금을 대는 공적 역할을 강화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4대 금융지주를 비롯한 은행권은 지난해 12월 소상공인·자영업자 25만명에 매년 7000억원씩, 3년간 2조원을 지원하기로 한 '상생금융 시즌2′를 발표했다. 4대 금융지주는 또 이달 미국발 관세전쟁에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을 위해 금리우대 등 35조원 규모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이달 국민의힘 주제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이달 중 맞춤형 소상공인 지원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금융지주를 향한 정치권 요구 강도가 세지고 그 빈도도 잦아지는 것이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여야를 막론하고 금융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실적 개선에 대해 함부로 이야기 할 상황은 아니”라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