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 컨소시엄, 양자내성암호 기반 개방형 의료 플랫폼 개발

Photo Image

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이 이끄는 '표준 의료 데이터 중계 플랫폼의 양자내성암호 전환' 기술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의료 분야에 선정됐다.

컨소시엄은 주관기업인 라온시큐어와 함께 파이디지털헬스케어, 크립토랩,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 구성됐다. 라온시큐어는 한국형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KpqC)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표준에 기반한 양자내성암호 기반 의료 데이터 플랫폼으로 이번 정부 사업에 선정됐다.

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은 양자내성암호 기반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를 개방형 의료 데이터 플랫폼에 적용해 환자의 개인 정보 제공 동의를 위한 인증과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다. 공개키 기반 암호 체계 'RSA'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점진적 전환을 돕는다. 또 각기 다른 의료 기관 간 연계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특히 현재 공개키 기반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해둔 뒤 미래에 양자컴퓨터로 순식간에 해독하는 선 수집, 후 공격(HNDL) 방식의 위협에 대비할 수 있다. 각 병원 의료정보시스템과 의료데이터를 중계하는 개방형 의료 플랫폼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다.

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은 양자내성암호 기반 개방형 의료 데이터 플랫폼을 신촌·강남·용인 세브란스 등 주요 의료기관에 시범 적용하고 추후 더 많은 병원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또 병원들과 연동된 각종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에도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해 대국민 서비스 보안도 강화하며, 디지털 치료제(DTx) 기업에도 이 플랫폼을 연동할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 인공지능(AI), 원격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에도 양자내성암호 적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나아가 국제 표준 기반으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해외 의료 플랫폼 시스템과의 연동까지 추진해 글로벌 시장 확대와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정아 라온시큐어 대표는 “양자내성암호 기반 개방형 의료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의 걸림돌을 제거해 환자들과 의료인들이 마음껏 혁신을 누릴 수 있도록 이끌겠다”며 “국내외 표준에 기반한 양자내성암호 기술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