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일 충남 예산군 사과 과수원을 방문해 사과 개화기 생육 상황과 스마트 과수원 조성 현황을 점검했다.
이날 방문한 내포농원은 우박 피해방지시설, 햇빛 차단망, 방조망, 방풍망 등 다양한 재해 예방시설과 무인 급수시설 등이 설치돼 기후 변화에도 안정적인 사과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 과수원이다.
최 부총리와 송 장관은 이동형 열풍방상팬 등 재해예방시설과 무인급수 시설을 둘러보고, 과수원 재배현황을 살피며 개화 상황 등을 점검했다.
최 부총리는 최근 이상 기후로 어려움이 가중되는 과수 생산 현장을 격려하고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2030년까지 60개소 조성하고, 재해 예방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과일은 체감 물가와 밀접한 품목”이라며 “지자체와 농촌진흥청 등, 농협 등은 개화기 생육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송 장관은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관리를 목표로 스마트 과수원 등 스마트 농업 확산과 생산·공급 기반 다각화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와 송 장관은 최근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 사태와 관련해 “피해 농가의 조속한 영농 재개와 일상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산불 발생지역이 사과, 자두 등의 주산지인 만큼 과수 재배단지 피해 조사와 개화기 상황 점검 등 과수 수급 영향을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15일까지 피해조사를 완료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시설 복구, 피해민 지원 등을 담은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마련한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