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ds “'Works AI'로 구성원 업무 효율 향상과 AI 생활화 지원”

MS의 애저 네이티브 기술과 AI 기술 접목한 업무 포털 'Works AI'

“인공지능(AI) 시대 변화를 가장 앞서 경험하고 이를 활용해 만든 것이 kt ds의 'Works AI'입니다.”

김승진 kt ds 기술혁신단 AI 테크 담당은 자사 'Works AI'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네이티브 기술과 AI 기술을 철저하게 활용해 만든 업무 포털이라고 소개했다.

Photo Image
김승진 kt ds 기술혁신단 AI 테크 담당

김 담당은 MS 기술 전문가로 현재 AI 기술 전략·기획, AI 코어 연구, AI 에이전트 빌더를 개발하며 kt ds의 AX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김 담당은 'Works AI'를 최신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술과 MS의 애저 네이티브 등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원의 AI 생활화를 돕는 차세대 그룹웨어라고 소개했다. AI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다.

Works AI는 'AI기반 협업 서비스'로 지난해 LLM과 디지털직원경험(DEX) 요소를 기반으로 개발된 서비스다. 'Works AI'를 통해 구성원들이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동력인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생활화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AI를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구성원 경험이 곧 고객경험 혁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만들자는 차원이다. 사내 정보를 활용하는 만큼 환각효과나 보안위협을 줄일 수 있다.

Works AI는 구성원들이 업무 시작과 동시에 AI 추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AI 채팅 기반으로 사외 지식뿐만 아니라 사내에 산재한 지식을 활용해 개인 맞춤형 비서로서 업무를 보조한다. 이를 통해 보고서 작성, 인터넷 검색, 소프트웨어 개발, 인프라 엔지니어링 코드형 인프라(IaC) 등 다양한 업무에서 AI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구성원들이 직접 필요한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동료들과 공유할 수 있는 'AI Makers' 기능을 갖췄으며, 복잡한 워크플로 디자인이 필요한 에이전트는 kt ds의 에이전트 빌더 솔루션과도 연동되도록 구현했다.

MS 애저의 최신 기술을 적용해 'Works AI'의 안정성과 속도를 높였다. 여기에 사내 정보와 외부 데이터를 결합한 검색증강생성(RAG),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MCP) 기법을 더해 강력한 웹 검색 기능도 통합했다. 이를 통해 구성원은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MS의 시멘틱 커널 기반으로 구축돼 기업환경에 최적화된 안정서비스를 구현했다.

kt ds는 지난 26일 양재aT센터에서 열린 MS AI 투어 인 서울 2025에 'Works AI'를 소개했다. 'kt ds의 MS 기술 기반 AX사업 전략'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kt ds는 MS의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AX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자는 취지다.

Photo Image
Works AI 전시 시연 모습.

김 담당은 “Works AI는 아직 진화단계로 구성원들에 의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면서 “Works AI가 kt ds의 혁신 사례뿐 아니라 애저 AI 기반으로 AX 혁신을 하려는 기업에게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