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수출기업 80% 이상 “트럼프 2기 관세부과, '부정적 영향 우려'”

Photo Image
광주지역 수출기업의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이유.

광주지역 수출기업 80% 이상이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으로 수출 경쟁력 약화와 경영 부담 증가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회장 한상원)가 운영하는 광주자유무역협정(FTA)통상진흥센터(이하 FTA센터)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지원정책 의견을 파악하고자 지역 수출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관련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지원정책 의견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88.0%가 관세부과가 본격화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응답했으며, 영향이 없거나 긍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1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시장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7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국내·외 거래처와의 교역 조건 악화(35.6%)', '국내 원청기업의 현지생산 이전·확대에 따른 주문량 감소(23.3%)', '해외 거래처의 거래선 변경(14.4%)' 등도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수출기업은 트럼프 2기 관세부과방침으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대상 25% 관세 부과'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3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 부과 및 소액 면세 제도 혜택 박탈(30.9%)','철강·알루미늄 제품 대상 25% 추가 관세부과(24.5%)',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 대상 25% 관세 부과(10.6%)'에 대한 영향도 예상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한 지역 수출기업의 대응방안을 조사한 결과 55.0%가 '아직은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응답했다. '원가절감 및 긴축경영 돌입'21.0%, '대체시장 발굴'7.0%, '내수비중 확대'6.0%,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4.0% 등이 뒤를 이었다.

트럼프 정부 관세 대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지원 과제에 대해서는 '한-미 FTA의 재협상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바라는 응답자가 39.0%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물류·통관비 지원(23.0%)', '자금 지원(21.0%)',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9.0%)', '신흥 유망시장 개척 지원(6.0%)' 등의 지원정책도 필요할 것으로 조사됐다.

트럼프 관세정책 전개에 따른 어려움 극복을 위해 FTA센터에 희망하는 지원과제로는 '수출입통관 애로 지원(39.2%)'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한-미 FTA 관세 혜택 활용 컨설팅(36.1%)', '신흥 유망시장 개척 및 정보 제공(24.7%)',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정책 대응 교육(21.6%)' 등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관계자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불확실성으로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경영 부담 증가를 우려한다”면서“기업들이 관세부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통관애로 지원과 FTA활용 컨설팅은 물론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교육·정보제공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