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세탁 탐지에 AI 활용”...머리맞댄 중앙은행-금융당국

글로벌 중앙은행이 인공지능(AI) 적용 범위 확장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거시지표 단기예측, 자금세탁 탐지부터 중앙은행을 위한 대규모 언어모델(CB-LMs)까지 최신 AI 기술 접목한 사례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 금융위원회는 17일 'AI, 금융, 중앙은행 : 기회, 도전과제, 그리고 정책적 대응'을 주제로 공동 콘퍼런스를 열어 AI가 경제와 금융, 중앙은행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논의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융시장 리스크를 감지하는 AI 기반 조기경보 시스템, 내부 규정 및 업무 매뉴얼 문의를 지원하는 AI 챗봇 등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AI 투자에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콘퍼런스는 중앙은행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AI 활용을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콘퍼런스 역시 중앙은행의 구체적인 AI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한국은행이 AI 전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BIS의 중앙은행 대규모 언어모델도 소개했다. 자율AI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이리나 리쉬 몬트리올 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중앙은행에 최신 AI 기술을 접목한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

빅데이터와 AI를 접목해 규제 지도를 작성한 사례도 소개됐다. 로버트 워드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AI를 활용해 전세계 다양한 금융 규제들을 분석하고 이를 디지털화해 체계화한 '규제 게놈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특히 신현송 BIS 국장은 중앙은행 차원의 AI 활용이 확산되면 될수록 '메타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지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신 국장은 “앞으로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안내해야 하는 자율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데이터가 점점 더 많이 수집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검색과 비교 가능성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AI가 전 산업 혁신의 기폭제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특히 금융 산업이 가장 활발하게 A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AI 기술 발전과 국제적 규범 변화에 따라 정책이 개선되고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금융위에서는 AI가 금융권에서도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권 특화 한글 말뭉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상거래 탐지(FDS), 금융보안 등 공익 목적 AI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공급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Photo Image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2층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된 BIS-금융위원회-한국은행 공동 컨퍼런스에서 환영사를 발표하고 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AI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