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서남해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경 〈자료 한국해상풍력〉

8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 입찰시장이 열린다. 현재 해상풍력 설치량의 50배를 웃도는 설비가 전력 시장에 진입하게 된다.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 창출은 물론이고 항만, 선박 등 관련 기반 시설 구축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최남호 2차관 주재로 '해상풍력 업계 간담회'를 열고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산업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2년간 최대 8GW 규모 해상풍력을 입찰한다. 올 상반기 기준 국내 해상풍력 설치량 158.5㎿ 대비 50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입찰을 통해 선정한 1.5GW를 포함하면 약 10GW에 이르는 해상풍력 사업이 진행된다.

사업자는 20여년 이상 안정적으로 전력·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판매할 수 있게 된다.

경쟁입찰은 해상풍력 시장 개화의 전제 조건이다. 조단위 투자가 수반되는 사업 특성상 입찰을 통한 전력·REC 판매처가 정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를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고정식 해상풍력발전 1GW 기준, 투자비는 5조원 안팎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를 통해 상당수 프로젝트의 투자 여건이 대폭 개선되는 동시에 50조원 규모 투자가 시작된다.

산업부는 풍력발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입찰제도를 대폭 손질했다. 매년 4분기에 시행한 풍력 경쟁입찰을 2분기로 앞당기고, 입찰수요를 고려해 필요시 4분기에 추가 공고를 내기로 했다. 사업자 선정 기준도 강화한다. 비가격 지표로 공고물량의 120%~150%를 선정하고, 가격을 비교하는 2단계 평가를 도입한다. 비가격지표인 1차 점수와 가격지표인 2차 점수를 합산해 고득점순으로 최종 선정한다. 이와 관련해 비가격 지표 배점을 40점에서 50점으로 확대하고, 거점·유지보수, 안보·공공역할 측면도 평가에 추가로 반영할 계획이다.

부유식 입찰 시장도 별도로 신설한다. 부유식 풍력발전은 해상에 풍력발전기를 띄우는 형태다. 설치비는 비싸지만 지형 영향을 받지 않는게 장점이다. 관련 기술 개발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설치 분야 국내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조처로 보인다.

신재생 공급의무화(RPS) 제도 개편 추진에 맞춰 공공의 역할 강화를 위해 공공 참여사업 목표 비중을 제시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공공주도형 별도 입찰 시장도 신설한다.

풍력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제시한 입찰 규모는 업계 예상을 웃도는 수준으로 경쟁력을 갖춘 사업자 다수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