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지방세·재정 시스템, 액티브-액티브 DR 타진

Photo Image
행안부가 올 초 발표한 전산장비 이중화 적용, 재해복구시스템 실효성 제고 대책 설명 이미지. 행안부 제공

정부가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끊김없는 공공 서비스 제공을 위해 차세대 지방세입·재정시스템에 실시간 재해복구(DR) 시스템 도입을 타진한다.

내년 정부 전반에 걸친 세부 DR 전략이 마련되면 이를 기준으로 DR 본사업도 추진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7일 “통합지방재정과 세입정보시스템 모두 차세대 시스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DR 전략을 수립했는데, 올 초 정부 DR 방침이 발표되면서 이에 맞춰 다시 DR 설계를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우선 설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올 초 발표한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책에 DR 적용 계획을 담았다.

장애 발생 시에도 빠른 복원을 위해 1·2등급 정보시스템은 네트워크, 방화벽 등 모든 장비에 대한 이중화를 진행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골자다.

부처·공공기관·지자체마다 시스템별 적용 가능한 DR 전략도 수립한다.

액티브-액티브(실시간 DR 가동)와 액티브-스탠바이(문제 발생시 DR 가동) 가운데 시스템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면 된다. 가장 중요한 시스템으로 꼽히는 1등급 시스템은 액티브-액티브 적용이 유력하다.

통합지방재정·세입정보시스템도 1등급 시스템으로 분류돼 액티브-액티브를 우선 고려한다.

행안부는 조만간 사업자를 선정해 통합지방재정·세입정보시스템에 액티브-액티브 DR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 설계안을 만들 방침이다.

△DR센터 구축 유형·대내외 운영환경 분석 △액티브-액티브 DR 모델 수립·상세 이행방안 수립 △센터간 업무분산 운영 등 구성변경·분산방안 수립 등을 진행한다.

이와 별개로 행안부는 액티브-액티브 DR 환경 구현을 위한 실증을 진행 중이다.

액티브-액티브 DR 방식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복제한다. 장애 발생 시 DR센터를 바로 가동하면 중단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반면 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을 하나 더 구현하고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인근에 DR 센터를 구축해야한다는 점에서 비용부담이 크다. 민간에서도 액티브-액티브 DR 사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기술 검증도 부족하다.

행안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을 통해 별도 실증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비용·기술 등을 사전에 살펴보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내년에 구체적인 액티브-액티브 DR 방침을 확정지을 방침이다.

지방세입·재정 시스템 역시 내년 정부 방침이 확정되면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설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내년 실제 구축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면서 “내년 확정될 정부 기준과 원칙, 세부 기술표준 사항에 맞춰 사업을 발주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