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민주당 대선 후보직에서 전격 사퇴했다. 대선이 107일 남은 시점에서 이뤄진 결단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남은 임기 동안 대통령으로서 의무를 다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당과 국가를 위한 최선의 이익”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후보직 사퇴를 결정한 것은 81세란 고령의 나이에다 건강 문제가 계속 불거지면서 결국 중도 사퇴한 것이다. 가장 직접적인 계기는 지난달 27일 열린 첫 대선 후보 TV 토론 참패다.

바이든 대통령은 후보에서 물러 나면서 새 후보자로 카밀라 해리스 부통령을 지지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제 다음달 19~21일 시카고에서 열리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새 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로써 역대 대통령간 대결로 관심을 모았던 미국 대선은 전 대통령과 부통령 대결로 치러질 전망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아프리카계 자메이카 이민자 출신 아버지와 인도 이민자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인종적으로 흑인이자 아시아계로 분류된다. 경제정책면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2021년 미국구조개혁법(ARP),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를 적극 홍보하면서 기존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공화당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과 중국 등을 압박하면서 전기차 의무화 반대, 제조산업 리쇼어링 정책 등을 펴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차별화된다.

다만 대선 107일을 남기고 트럼프 대세론이 굳혀진 현재 상황을 뒤집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대통령의 결단은 정파와 국경을 넘어 큰 울림을 준다. 정상에 오른 사람이 당과 국민을 위해 물러나기 결심을 하는데는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특히 당과 국민을 위한 결정이라는 데 혼돈에 빠져있는 우리 국회와 정치권 역시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이번 미국 대선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관심은 경제 정책이다. 우리나라와 동맹국인 유럽과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 러시아, 북한 등까지 초미의 관심사다.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지속되는데다 미국의 큰 경제 정책흐름이 뒤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러한 경제 정책 흐름은 우리 산업의 핵심축인 자동차. 반도체 등도 연관이 깊다.

우리 정부와 재계도 미국 대선의 향방을 유심히 지켜보면서 경제와 무역 정책을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처할지 고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