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표준에 맞춰 저궤도 위성통신도 개화...740조 시장 잡겠다”

Photo Image
6G 위성통신 콘퍼런스 2024가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렸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왼쪽 일곱 번째), 방승찬 ETRI 원장(왼쪽 여덟 번째), 서영수 위성통신포럼 대표의장(왼쪽 여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박수치고 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정부가 2030년 6세대(6G) 이동통신 표준화 시점에 맞춰 저궤도 위성통신을 상용화한다. 초공간 입체통신을 구현할 6G 핵심기술로 위성통신이 떠오르면서 글로벌 시장 적기 진입을 위한 기술 자립화를 지원한다. 위성통신 표준화 대응과 우주국방을 위한 민관 협력 논의도 본격화됐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16일 엘타워에서 열린 '6G 위성통신 컨퍼런스 2024'에서 “2030년에 이르면 현재 위성 사업자 중심의 독자규격(비표준) 서비스에서 벗어나 표준 기반으로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것”이라며 “지금이 국내 기업이 시장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했다.

강 차관은 “저궤도 위성통신은 하늘 위에 짓는 디지털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6G 시대 지상·위성 통합망 구현 핵심으로 꼽힌다. 위성 산업 무게추도 중·정지궤도에서 민간 중심 저궤도 위성으로 옮겨가고 있다. 스타링크와 원웹 등 글로벌 기업은 독자 규격의 저궤도 위성을 쏘아올리며 시장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은경 과기정통부 과장은 “스페이스X가 2030년까지 위성 4만2000기를 쏘아올리는 등 글로벌 기업간 경쟁이 확대되고 있고 세계 각국 정부도 안보 차원에서 독자망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계기로 기술자립과 국내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 규모는 2023년 106조원에서 2030년 272조원, 2040년에는 74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400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위성 산업에서 약 53%를 차지한다.

Photo Image
6G 위성통신 콘퍼런스 2024가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렸다. 지은경 과기정통부 과장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추진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정부는 6G 표준화 시점에 맞춘 위성통신 시장 적기 진입으로 우주 시대에도 통신 강국 위상을 이어나갈 기반을 확보했다는데 의미를 뒀다. 지 과장은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은 2028년 완성되는 6G 표준을 바탕으로 2030년에 표준 기반 시장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이번 예타는 6G 기반 저궤도 위성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정부는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분야 핵심기술 11개 확보에 3200억원을 투입한다. 자체 군집위성 체계를 구축하기보다는 국내 기업 우주검증이력 확보에 중점을 둔 선택과 집중 전략이다. 탑재체에서는 사용자 링크용 다중빔 위상배열 안테나와 송수신 빔형성 장치 등 4개 핵심기술을, 지상국·단말국에서는 피더링크 전송 기술과 평판 안테나 개발에 주력한다.

국방 분야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을 우주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자산으로 보고 있다. 최성훈 방위사업청 팀장은 “올해 국가 우주개발 사업 중 1.8%인 3171억원을 국방 우주사업에 투입하고 있다”면서 “상용 저궤도 위성통신망을 육·해·공군 기존 전술망과 연동하는 신속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저궤도 위성통신이 비지상통신(NTN)으로 주목받으면서 우주전파통신 혼간섭 방지와 한정된 위성궤도 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 규격화 논의에도 적극 참여한다.

위성통신포럼 의장을 맡은 서영수 KT SAT 대표는 “6G 위성통신 시대를 대비해 세계 각국은 저궤도 위성통신 정책과 표준화를 본격 추진 중”이라며 “포럼은 산·학·연·관 소통 창구로서 국내 위성통신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구심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