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대표. [사진= 구글 클라우드 제공]

“구글 클라우드에 연결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들은 데이터부터 보안, 임직원, 생산성, 고객, 코드 개발 등에 특화됐고, 이를 담는 구글 클라우드의 완전 관리형 플랫폼은 고객의 투자 수익률(ROI) 실현을 가속할 것입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대표는 27일 개최된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에 앞서 진행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구글 클라우드의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이같이 밝혔다.

지 대표는 △고객용 △직원용 △창조용으로 구분한 AI 에이전트들을 선보였다.

고객용 에이전트는 고객 요구를 파악하고 제품 정보를 습득하며 고객과 소통한다. 웹, 모바일, 콜센터, 매장관리시스템(POS) 등 여러 채널에서 텍스트, 음성 등 다양한 형태로 작동한다.

직원용 에이전트는 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반복 작업을 전담한다. 직원 질문에 답하고, 중요한 메시지를 편집·번역한다. 임직원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창조용 에이전트는 이미지와 발표 슬라이드를 넘나들며 디자이너처럼 이용자와 함께 콘셉트를 모색한다.

지 대표는 “기업은 구글 클라우드의 AI 최적화 인프라, 모델 및 플랫폼을 기반으로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는 AI 에이전트들을 잘 결합해서 슈퍼 에이전트를 만들고, 지원하는 회사가 승자의 길을 가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구글 클라우드의 인프라와 관리형 머신러닝(ML) 플랫폼 '버텍스 AI'상에서 다양한 AI 에이전트들과 협업할 경우, 고객사는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버텍스 AI는 고객이 생성형 AI 모델을 검색, 맞춤화할 수 있다. 제미나이, 미스트랄, 젬마, 라마2 등 오픈 거대언어모델(LLM)등 130개 이상을 제공한다.

지 대표는 “기업이 생성형 AI를 대대적으로 도입하려면 실리콘에서 소프트웨어(SW)에 이르기까지 엔드 투 엔드 기능과 개방적인 엔터프라이즈급 AI 플랫폼이 필수”라면서 “구글 클라우드는 AI 스택 전반에 걸쳐 자사 솔루션은 물론 파트너사, 고객사 솔루션까지 확장·제공하는 유일한 클라우드 기업”이라고 말했다.

실제 구글 클라우드를 도입·운영한 카카오헬스케어도 구글 클라우드의 개방성과 확장성에 긍정 목소리를 냈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도입 성과 발표에서 “왜 구글 클라우드를 택했느냐고 묻는다면, 구글은 자사 모델(LLM)만 고집하지 않고 오픈 생태계를 지향하기 때문”이라면서 “버텍스 AI상에서 라마나 제미나이, 다른 모델로도 연합 학습이 가능하고 이 중 가장 잘 맞고 결과가 좋은 비용 효과적인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카카오헬스케어만해도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와 버텍스 AI를 통해)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상당 데이터를 표준화했다”면서 “예전 같으면 10년치 데이터 전체를 엑셀로 작업해서 구조화하려면 10여명이 2년을 매달려야하지만, 이제는 서너명이 일주일이면 해결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구글 클라우드 서밋 2024에서는 삼성, HD현대, LG AI연구원, 엔씨소프트, 컬리, 카카오헬스케어, 코웨이 등이 참석해서 구글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