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국 전남대 교수팀, 차세대 이차전지 실용성 제고 연구방향 제안

Photo Image
김재국 전남대 교수팀 수계아연금속전지 연구방향 제안 논문 그림.

전남대학교는 김재국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의 실용성을 높이는 연구 방향을 제안했다고 26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수계 아연-금속 이차전지(ARZMBs)'의 현실적인 문제와 실용성에 대해 에너지 밀도 계산, 가격, 전극의 구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분석해 '차세대 수계 아연-금속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 방향과 전망을 도출했다.

'수계 아연-금속 이차전지'는 아연의 풍부한 매장량, 구성 소재들의 낮은 가격, 간단한 시스템 구조 등의 장점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이차전지 시스템이다. 종류로는 아연-알칼라인 전지, 아연이온전지, 분리된 전해질(Decoupled-electrolyte) 전지, 아연-니클, 아연-공기, 아연-할로겐 전지 등 다양하며 각기 다른 전기화학 반응 메커니즘으로 장단점 또한 뚜렷하다.

그중 강 염기·강 산으로 구성된 '분리 전해질 전지'는 망간 또는 아연 용해, 가스 발생, 수지상, 분리막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600mAh/g의 높은 용량과 2.4V의 높은 작동전압을 갖는다는 우수한 특성이 있다. 이는 다른 전지 시스템과 달리 양극에서 2전자 반응을 완벽히 활용 가능하다는 데서 차이를 보인다. 약 8년 전 보고된 이후로 거의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연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분리 전해질 시스템을 중심으로 차세대 '수계 아연-금속 이차전지'의 잠재력을 이끄는 연구방향을 제안했다. 시스템 공통적인 부분에서, 상용화된 아연 포일 음극에 대한 활용보다는 높은 수명특성과 아연 활용의 특성을 가지는 인-하우스(In-house) 아연 음극을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ACS) 에너지 레터스'에 게재됐다. 이 연구는 선도연구센터(ERC)와 기초연구실지원사업(NLAB)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