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다가오는 배양육 시대 준비를 위한 제언

Photo Image
라연주 티센바이오팜 최고전략총괄이사(CSO)

세포배양육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품등의 한시적 기준 및 규격 인정 기준'을 일부 개정하면서 공식적으로 국내에서 배양육이 인허가받을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지난달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경상북도를 '세포배양식품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했다.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는 이유는 명확하다. 배양육을 비롯한 세포배양식품은 기후 위기 시대에 국가의 식량안보를 지킬 수 있는 혁신적인 수단이자, 미래 신산업 동력이기 때문이다. 동물 전체를 사육하고 도축할 필요 없이, 동물 세포만을 키워 길러낸 고기인 배양육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육류 생산 방식이다. 배양육은 기존 소 축산업 대비 탄소배출량을 최대 92%, 토지 사용량을 최대 90%, 물 사용량을 최대 66%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글로벌 배양육 시장도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글로벌 싱크탱크 '굿푸드 인스티튜트(Good Food Institute)'에 따르면 2023년 말까지 배양육에 투자된 자본은 31억달러(약 4.3조원)에 육박한다. 전 세계적으로 배양육 산업에서 활동하는 회사는 170여개다. 한국은 10여개 업체가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도 배양육을 포함한 '바이오테크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유럽연합은 2.4억유로(약 3521억원)를 대체 단백질에 투자했다.

다만 초기 시장 형성 단계인 배양육 시장에는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 소비자 인식, 비용, 규제 3가지다. 배양육은 굉장히 낯선 식품이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상상도 잘 안되고 겁부터 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식품에 대한 대중의 막연한 불안을 '푸드 네오포비아(Food Neophobia)'라고 부른다. 두 번째 과제는 비용 절감이다. 오늘날 선두기업의 배양육 생산비용은 ㎏당 100~200달러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1++ 한우 도매가가 ㎏당 2만3000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6~12배 수준이다. 마지막 넘어야 할 산은 규제다. 신소재 식품인 배양육은 어느 나라에서든 규제당국의 인허가를 받아야만 판매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슈를 극복하는 데 정부 역할이 매우 크다. 먼저 대중 인식 개선을 위해 식약처와 농림부 등 관계부처가 세포배양식품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규제당국인 식약처에서 얼마나 엄격한 기준으로 배양육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는지 공유한다면, 많은 소비자가 가지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배양육의 단가를 내리고 품질을 올리는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해야 한다. 2023년 한국 축산발전기금은 1조원에 달하는 반면 배양육에 대한 공적인 지원은 이의 1%도 안 되는 상황이다. 특히 도축육의 가격은 예측 불가능한 기후변화로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배양육은 기존 도축육의 상호보완재다. 식량 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배양육 연구개발에 힘을 쏟아야 한다.

셋째,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인허가에 드는 비용을 줄여야 한다. 세포배양식품 안전성 평가 기준을 국제 표준에 맞춰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동물실험을 필수로 하는 독성시험자료는 비동물 또는 생물학 기반 시험 자료로 대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4500만원에 달하는 인정 신청 수수료도 인하될 필요가 있다.

라연주 티센바이오팜 최고전략총괄이사(CSO) yjla@tissenbiofarm.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