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영동, IDC 클러스터 최적지...“1조원 효과, 수도권 과밀·송전제약 모두 해결 가능”

Photo Image
전자신문이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강원·영동지역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 방안' 세미나에서 채효근 한국데이터센터연협회 전무가 발표하는 모습.

“전력 공급이 풍부한 강원, 영동 지역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같은 대형 전력 수요처를 조성하면 전력 수급의 심각한 부조화를 해소할 수 있다”

26일 전자신문이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강원·영동지역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 방안' 세미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강원·영동 IDC 클러스터 조성과 전력 직거래를 통해 국가 전력 효율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채효근 한국데이터센터연협회 전무는 주제 발표에서 IDC의 수도권 과밀이 심화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데이터센터연합회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민간 데이터센터 93개 중 수도권에 분포된 비율은 76%(71개)에 이른다. 올해 준공 예정인 데이터센터 85%도 수도권에 집중됐다. 산업통상자원부도 2029년까지 데이터센터 입지의 82.1%, 전력 수요의 80.6%가 수도권에 집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IDC의 집중은 수도권 전력 소비의 폭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다. 수도권은 전력 생산 설비 대비 수요가 많아 전력 자립도가 낮다. 서울시의 전력 자립도는 11%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력을 끌어오기 위한 대규모 송·변전 투자가 필요하지만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실정이다.

채 전무는 “IDC 수요는 향후 지속 확장할 수밖에 없다”면서 “IDC 효율화를 위해 전력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대로 발전소 신증설로 인해 전력 공급이 급증하는 반면 수요가 못 미치는 지역도 있다. 대표 지역이 동해다. 경주, 울진의 원자력벨트, 강릉, 삼척 소재 민간화력발전소 등이 밀집했다.

박종배 건국대 교수는 '분산에너지 조기 정착을 위한 동해안 지역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필요성' 발표에서 “한울, 월성, 신월성 등 동해 지역 신규 원전이 가동되고 추가 증설 계획까지 수립된다면 국가 전체 원전 발전량의 최대 80% 이상이 이곳에서 발생한다”면서 “반면, 인근에 대형 수요처가 적기 때문에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송전 제약 등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1GW 설비가 송전 제약을 받으면 연간 약 7000억원 규모 연료비 손실이 발생한다”면서 “강원·영동 IDC 클러스터 등 대형 수요처를 조성해 전력 수급의 균형을 맞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이어 “전기사업법 개정 등으로 송전 제약 지역에서 발전소와 수요처가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력을 매매할 수 있게 됐다”면서 “1GW의 신규 수요가 발생하면 약 2GW의 송전 제약을 피할 수 있고 1조원 이상의 경제효과기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IDC 수요처 유치를 위한 유인책 수립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동해 분산에너지 특구를 지정하고 무탄소화 지원, 계약 가격 인하 등 과감한 IDC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DC 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류기훈 데우스 대표는 “전력 직거래로 기존 대비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겼다”면서 “아직은 한국이 동남아시아 국가 대비 IDC 수요 유치 동인이 미비한 것이 사실로 강원도 내 IDC 개발 방향성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동해 지역에서 전력 공급은 지속 늘어나는데 송전 설비는 이에 따르지 못할 공산이 높다”면서 “신규 신규처 발굴 차원에서 IDC가 부상한 것인데 이를 유치하기 위한 규제 개선이 시급하고 지자체 또한 구체 방안을 마련하고 협상장에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옥헌 산업부 전략정책관은 “IDC가 전력 수요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고 향후 수요는 더 증가할 것”이라면서 “전력 수요 분산을 정책적으로 유도할 계획으로 관련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