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폼으로 구축해 기존 운영방식과 서비스를 혁신하는 디지털 전환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전환 기조가 산림정책에도 반영됐다. 산불감시·진화, 산사태, 임업, 산림복지 등 아날로그적 생각이 드는 분야에 다양한 첨단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산림청은 올해 디지털 전환 10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산불 여부를 자동 감시·판독하는 AI 기반 ICT 플랫폼 확대, 디지털 기반 산사태 대응체계 강화, 산림산업 관리체계 디지털화, 산림데이터 구축·활용, 산림탄소 정보관리체계 마련 등이 대표적이다. 내년에는 디지털 전환 핵심 인프라인 농림위성을 발사·활용해 실시간 대면적 산림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산림탄소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해 국제수준의 대응력 확보에도 나선다. 2026년까지 산림탄소 측정·보고·검증 체계를 구축해 산림분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그동안 산림은 보존의 영역으로만 여겨져 왔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의 산림은 경제·환경·사회문화적 가치로 재평가 받고 있다.산림청이 '산림르네상스'를 목표로 두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인식 변화를 기반으로 한다. 산림을 잘 가꾸면서도 경제임업을 활성화해 보존과 이용의 경계선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구상이 담겨 있다.
디지털 전환은 산림 보존과 이용의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다만 전통적 운영방식을 단시간내 바꿔나가기가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기존과 다른 접근에는 시행착오도 있을 수 있다. 또 아무리 좋은 기술도 무분별하게 접목했다가 생각지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올바른 디지털전환 방향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 '산림르네상스'를 위한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
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