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신년기획]“AI 기반 스마트홈 케어 서비스, 고령화 사회 대비 육성 해야”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상호 연결되는 국가 과제인 만큼 1인 가구나 고령인구 대상 케어 서비스로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방향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은 다양한 서비스 창출은 물론 그동안 생각하지 못했던 해결책 제시까지 다방면에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Photo Image
황인철 코맥스 이사

황인철 코맥스 이사는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AI가 해결할 순 없지만 정부의 정책 기획이나 추진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황 이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 기술 개발'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생성형 AI와 같은 혁신 기술 등장과 축적된 데이터 등 인프라가 산업 곳곳에 구축됨에 따라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사회 문제까지도 AI 중심으로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판단했다.

현재 정책과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고령화 문제에 AI 활용 여지가 더 높다고 봤다. AI를 활용해 난임 요인 분석 등 저출산 문제 해소에서도 적용 시도가 있지만 여전히 의학적, 정책적으로 풀어야 할 요소가 많다. 반면 고령화는 노인 케어와 의료비 합리화, 노동생산성 향상 등 AI로 풀 수 있는 요인이 많다는 설명이다.

황 이사는 “AI를 활용한 고령화 대응을 위해서는 고령자 헬스케어 서비스, 고독사 방지시스템, 원격진료 및 비대면 진료 등 접목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를 적극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AI를 접목한 혁신 솔루션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이사가 총괄하는 개방형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 기술 개발 사업은 AI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를 활용해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 복지를 높이는 기술 개발이 목적이다. 코맥스를 주관기관으로 LH, LG전자, 클리오, 초록소프트 등 건설·가전·네트워크·소프트웨어(SW) 기업이 총집결했다.

Photo Image
개방형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 기술 체계

황 이사는 정부가 추진하는 이 사업 역시 AI를 활용한 노인 케어의 대표적 사례로, 새로운 시장 창출과 함께 국가 과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스마트홈 케어 서비스를 AI로 지능화할 경우 서비스 정확도나 다양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며 “스마트홈 기기와 인체정보 센싱 데이터를 융합해 AI 서비스 분야 새 이정표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코맥스 포함한 5개 업체는 글로벌 스마트홈 표준 '매터'를 이용해 집 안의 다양한 가전과 소형 IoT기기, 월패드 등을 연동해 노인이나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케어하는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기존 스마트홈 케어 서비스와 달리 글로벌 표준을 사용해 연동 및 확장성을 강화했고 AI를 접목해 상황에 맞는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가령 몸이 불편한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해 AI가 상황에 맞춰 조명이나 가전 작동을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제안할 수도 있다.

황 이사는 “인체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레이더 기술을 스마트홈 플랫폼에 접목해 가정 내에서 사람의 심박, 호흡, 움직임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AI로 위급 상황을 예측해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케어 서비스가 구현된다”며 “개발 과정에서 매터 표준을 적용해 향후 다양한 중소 서비스·기기업체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고령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돌봄 서비스에 AI 스피커, 돌봄 로봇 등에 AI를 접목하려는 노력이 확대되는데 고령인구의 생활 데이터가 꾸준히 축적되고 AI 돌봄 서비스가 대중화되면 이를 플랫폼으로 삼아 다양한 맞춤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향후 확산을 위해서는 돌봄 서비스 업무의 효율성 향상, 이용자 건강개선, 만족도 향상 등 AI를 활용한 돌봄 서비스 효과의 실증적 연구와 프라이버시 보호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준비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