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AI 생태계 구축이 한국의 해외 진출 전략”

“경쟁력 있는 인공지능(AI)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게 부족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AI 생태계 구축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면, 이를 해외 정부와 기업에 생태계를 구축해주는 한국의 AI 글로벌 진출 전략이 될 것입니다”

Photo Image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전자신문이 공동주관하는 '제2회 AI 인사이트 포럼'이 8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열렸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이 '초거대 AI 시대, 글로벌 AI 생태계 현황과 우리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은 8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열린 '제2회 AI 인사이트 포럼'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포럼은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주최하고 전자신문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공동 주관했다.

하 센터장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AI 시장을 점령하게 된다면 우리의 모든 데이터는 빅테크 기업 클라우드에 저장된다”며 “AI 기술 종속은 결국 데이터 주권을 잃는 것과 같다”고 조언했다.

챗GPT 등장 이후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다. 챗GPT가 매일 쏟아지는 논문, 신문, 서적을 요약해준다. 마케팅에 필요한 사진을 생성하고, 홍보 문구를 제안해준다.

하 센터장은 “AI는 업무 비효율을 줄여주고 업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준다”며 “그렇다고 AI의 제안을 모두 신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보조 도구로서 활용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것이 AI를 중심으로 짜여지는 생태계 구축”이라며 “검색 엔진과 스마트폰이 매개체로 다양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연동해왔다면, 이제는 간편하고 사람 말을 더 잘 알아듣는 AI가 매개체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전 세계 사람들의 일상을 바꾸면서 비즈니스를 창출한 것처럼 AI도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다. 핵심은 새롭게 창출되는 비즈니스를 한국 기업이 이끌어야 한다는 점이다.

하 센터장은 “한국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다”며 “한국은 초거대 언어모델을 기준으로는 미국과 중국을 이어 3위이고, 전체 AI 기술도 6위로 국내총생산(GDP) 순위보다 AI 기술력 순위가 높다”고 설명했다.

구글과 애플이 앱 스토어를 독과점하고 있다. 이들이 수수료를 인상하면 국내 기업은 이들에게 비용을 더 내야한다. 이처럼 빅테크 기업이 생태계를 주도하면, 비즈니스 기회를 잃는다. 오픈AI는 지난 7일 'GPT 스토어'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I 생태계 주도권을 잡으려는 노력이다.

Photo Image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전자신문이 공동주관하는 '제2회 AI 인사이트 포럼'이 8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열렸다.

하 센터장은 AI 기술력을 보유하는 것은 핵무기 보유 이상의 파급력을 가진다고 비유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이 2016년 기준 GDP 격차가 거의 없었는데 지금은 거의 2배 차이난다”며 “기술 혁신을 막아서는 안된다는 의미이고, AI 시대에 우리는 AI 리터러시와 전문 분야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I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야 하며 동시에 실제 업무에서 AI를 적용하려면 전문 분야 데이터를 가공해서 엄선된 양질의 데이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한 엄선한 데이터에서 쓸만한 물건이 나온다”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