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스마트홈 접근성, '사용성·통합'이 관건...민간 협업체계 마련 절실

장애인 스마트홈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려면 플랫폼 통합과 함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실증사업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아파트 분양시장이 주도하는 국내 스마트홈 지형을 고려한 가전-플랫폼-건설을 아우르는 협업 필요성도 강조됐다.

Photo Image
스마트홈 서비스(자료: 게티이미지뱅크)

장애인 스마트홈 접근성 협의체는 7일 온라인 운영회의를 갖고 서비스 확산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협의체는 가전, 통신, 가전, 디바이스, 학계, 협단체 10여 곳이 모여 최근 발족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LG전자, KT, 포스코DX, 현대에이치티, 고퀄, 도어즈, 웨이커스, 국립재활원, 연세대,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등이 참석, 각 사가 진행 중인 장애인 스마트홈 접근성 노력과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재걸 LG전자 ESG팀 책임은 “2021~2022년 장애인 자문단을 통해 접근성 평가를 했고, 이를 통해 점자 스티커 배포, 음성기능 적용, 조작부 위치 변경 등 개선 작업을 펼쳤다”며 “올해는 베스트샵, 온라인몰 등 서비스 영역에서 장애인 접근성을 평가 중”이라고 말했다.

윤홍용 포스코DX 프로는 “현재 더샵 아파트에 들어갈 장애인 특화 서비스를 연구개발 과제로 진행 중”이라며 “시중 월패드가 터치방식으로 많이 출시되는데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끔 개선하는 것도 연구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가전 비중이 높아지고, 편의성을 높이는 스마트홈 서비스도 확대되고 있다.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스마트홈 서비스는 최대 수요처 중 하나로 꼽히지만 디지털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이들은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Photo Image
스마트홈

협의체는 이를 개선해 사용성에 기반한 기기·서비스 출시는 물론 실제 적용까지 확대하려면 협업체계 구축, 정책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김종배 연세대 작업치료학과 교수는 “장애 유형과 생활환경이 다양한 만큼 특화된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면서 “기기나 서비스가 개발돼도 연동한 플랫폼이 제각각이다 보니 거기에 적합하게 재개발해야 해 불편함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병헌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팀장은 “현재 우리나라는 가전, 건설, 기기 등 많은 업체가 개별 스마트홈 플랫폼을 운영하다 보니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자도 불편한 상황”이라며 “플랫폼간 통합은 장애인 접근성을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서비스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입장에서 철저한 시장조사 후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성순 고퀄 책임은 “과거 노인들의 공인인증서 발급 사례를 보듯 장애인 역시 아무리 좋은 스마트홈 서비스가 개발돼도 사용하는데 불편하면 의미가 없다”며 “현재 IoT 기기나 서비스가 많이 출시되지만 보급이 늦은 것은 사용성에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정혜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 국장은 “장애인 스마트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기기를 개발하거나 새로 도입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를 아우르는 컨트롤러를 얼마나 정교하게 구성하느냐도 중요하다”며 “장애인들 역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컨트롤러로 삼아 다양한 서비스를 아우르는 방식으로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