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섭의 M&A인사이트] 〈1〉M&A는 기업실패가 아니다.

Photo Image
김태섭 피봇브릿지 대표

1997년 대한민국은 풍비박산 났다. 아무런 경고음도 없이, 그것도 대한민국이 OECD에 가입한 직후 벌어진 일로 대마불사(大馬不死)라고 여기던 대기업의 절반이 사라졌고, 무엇보다 '은행부도'라는 당시로는 이해못할 사태까지 속출했다. 대한민국을 송두리째 변화시킨 이 사건은 익숙한 것들과의 이별이었다. 한편 누군가의 고통은 누군가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필자는 M&A라는 용어를 IMF외환위기 당시 처음 들었다.

M&A는 미국 월가에서 시작된 용어로, 기업인수와 합병을 말한다. 현대의 M&A는 변했다. 기업 혹은 자산을 사고, 팔고, 나누고, 합치는 모든 거래로 확장됐다. M&A는 고대로부터 이어져왔다. 화폐 등장 이전 물물교환도 M&A 이며, 로마제국의 정복활동도 M&A다. 물물교환은 현대의 주식 맞교환(stock exchange)과 같을 것이고, 정복은 적대적 M&A라 할 수 있다. 이 둘은 현대 M&A 거래에서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M&A에 대한 나라별 인식도 제 각각이다. M&A역사가 수백 년 앞선 미국은 M&A는 창업자에게 최대의 보상이며 심지어 젊은이들은 M&A를 위해 창업한다. 이는 통계로도 입증된다. 한국 투자시장의 엑시트(투자회수) 방안은 IPO가 거의 유일한 반면 미국은 M&A가 45%에 이른다. 부연하면 한국 창업기업의 IPO비율은 0.7%에 불구해 투자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 대표적인 인물이 일런머스크이다. 일론은 2000년 전후 창업한 집투, 페이팔 등을 수십억 달러에 매각하고, 스페이스엑스·테슬라모터스 등을 잇따라 설립했다. 즉, 창업-매각-재창업의 에코시스템으로 산업의 재배치와 고도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미국이 넘사벽인 까닭은 여기에 있다.

국내 M&A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M&A를 기업실패로 보는 시각이다. 심지어는 정당한 엑시트 활동을 온갖 억지로 흠집내기도 한다. 문화가 이렇다 보니 M&A는 점점 음성화되고, 매각시기마저 놓쳐 기업은 영영 회생불능 상태가 된다. 기업의 주인은 주주이다. 특히 상장(上場)은 시장에 명패를 다는 것으로 수만 명 주주가 참여한다. 즉, 기업은 사회적 자산으로 멈춤 없는 성장을 이어가야 한다.

일본의 대표적 M&A플랫폼인 바톤즈(batons)는 이어달리기에서 달리기 주자끼리 주고받는 바톤과 같은 말이다. 한편 바톤터치를 할 때는 정해진 20m 구간에서 해야하며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 공교롭게도 이어달리기를 가장 잘하는 국가는 일본이다. 잘 짜여진 팀워크로 올림픽에서 매번 메달을 차지한다. 일본의 M&A플랫폼은 1990년대 등장해 기업은 물론 식당, 편의점, 세탁소까지 거래된다. 바톤즈의 경우 일일 500여건의 신규 M&A정보가 등록된다.

기업이라는 긴 여정은 이어달리기와 같다. 각 플레이어가 자기 구간을 열심히 달려주고, 때가 되면 다음 플레이어에게 바톤을 넘겨준다. 특히 1·3번주자는 직선주로를 2·4번 주자는 곡선주로를 달려야 하는 데 저마다에 기량이 다르다. M&A는 기업 실패가 아니다. 관중은 박수로 M&A플레이어를 보내야 한다.

김태섭 피봇브릿지 대표 tskim@pivotbridge.net

Photo Image
김태섭 피봇브릿지 대표

〈필자〉1988년 대학시절 창업한 국내 대표적 정보통신기술(ICT) 경영인이며 M&A 전문가다. 창업기업의 상장 이후 4개 코스닥기업를 경영했고, 시가총액 1조원의 벤처 신화를 이루기도 했다. 특히 반도체 전문가로 그가 저술한 '규석기시대의 반도체'는 대학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전 바른전자그룹 회장으로 현재 언택트 M&A플랫폼 '피봇브릿지' 대표 컨설턴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