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창명 GIST 교수팀,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새 길 열어

특정 단백질 억제해 지방간 개선방법 찾아내
간 지방 대사 조절과 염증 반응에 영향 기대
Photo Image
쥐 간에서 식이에 따라 LY6D 발현이 달라짐을 확인했으며, 사람 간 조직에서 LY6D 발현수준에 따라 지방간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함.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오창명 의생명공학과 교수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이를 억제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당뇨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사 질환이지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오창명 교수팀은 세포 외 영역과 원형질막에 위치한 단백질인 '림프구 항원 6D(LY6D)'를 억제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쥐 실험을 통해 이 단백질이 간의 지방 대사 조절과 염증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높은 당을 함유한 사료를 섭취한 쥐에게서 이 단백질이 증가하고, 이 단백질이 높게 발현된 경우 심각한 지방 축적이 야기되는 것을 발견했다. 유전자형질-조직 발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간에서 이 단백질이 높게 발현된 사람은 지방간 질환의 조직학적 변화가 더 심각한 것으로 확인했다.

Photo Image
간 특이적 Ly6d 억제 쥐 모델을 대상으로 쥐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로 인한 지방간이 호전됨을 확인함.

연구팀이 이 단백질의 유전자를 100배 이상 높게 발현시키자 고지방 섭취나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가 대조군 대비 더 많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쥐에게서 이 단백질을 억제하자 증상이 호전됐다.

오창명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새 치료 타깃을 찾아냈다”며 “이 단백질을 억제해서 간 내 지방 대사 조절과 염증 억제를 유도하면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오창명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왼쪽)와 이지범 석사졸업생.

오 교수가 지도하고 GIST에서 석사를 졸업한 이지범 씨가 수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사업 및 GIST생명의과학융합연구소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실험분자의학(EMM)'에 게재됐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