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20/news-p.v1.20230620.d8e8be204ed94fe7a60f5ef3853d70e8_P1.jpg)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원자력 안전을 위한 디지털 기술 도입에 대해 논의했다.
원안위는 2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DCC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3 원자력안전규제정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21일까지 이틀 간 이어진다.
규제정보회의는 원안위와 산학연 관계자들이 매년 모여 원자력안전 기술현안과 규제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 회의는 ‘신뢰받는 원자력안전: 디지털과 함께하는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원자력안전 증진을 위한 디지털기술 도입 방향’을 논의한다.
원안위에 따르면 최근 미국·프랑스 등 주요 원전 운영국은 자국 원전의 운전과 유지보수를 위한 디지털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규제기관에서는 원전의 인공지능(AI) 활용 동향보고서를 발간하거나 검사업무에 AI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우리나라도 원자력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한국형 원전 디지털 트윈을 개발하고 있다. 규제기관인 원안위도 원자력안전 디지털 플랫폼 구축계획을 수립한다.
원안위는 이번 회의로 원자력분야 산학연 관계자들과 디지털 기술 도입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한다.
20일 열린 본회의에서는 임승철 사무처장이 ‘디지털 전환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원자력안전규제’를 주제로 강연했다. 특별세션에서는 박경렬 KAIST 교수 등 학계·산업계, 규제 전문기관 전문가가 바람직한 디지털 전환 방향과 당면과제를 논의하는 정책 좌담회를 개최했다.
21일 열리는 기술세션은 원자력안전R&D, 소형모듈원자로(SMR) 규제방향 등 총 16개 분과로 구성된다. 규제 전문기관과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해 기술 현안에 대해 심층토론을 진행한다.
유국희 원안위원장은 “디지털 대변혁 시대에 원자력 안전 분야 역시 디지털 전환 흐름에서 예외일 수 없다”면서 “이번 규제정보회의에서 데이터와 함께하게 될 원자력 안전 미래와 대응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