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통합창구·혜택 알리미 등
중점 과제별 부처 이행상황 점검
공공·민간 갈등 조정 등 가속도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5/29/news-p.v1.20230529.0705bdad2a57461c8a6f017601f5c1d5_P1.jpg)
대통력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위원회가 16개 태스크포스(TF) 체제로 전면 전환한다. 디플정 실현 계획 이행력을 높이고, 조기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치다.
디플정위원회는 △범정부 서비스 통합창구 구축 △혜택 알리미 △구비서류 제로화 △제로트러스트·공급망 보안 △마이데이터 △인·허가 △지역 혁신 △디지털 트윈 △거브테크(GovTech) 산업 활성화 △데이터 개방·활용 △초거대 공공 인공지능(AI) △디지털플랫폼정부(DPG) 기반 △DPG 허브 △법·제도·거버넌스 △디지털 바이 디자인(Digital by Design) △DPG 교육 등 16개 TF 체제로 전환한다.
TF는 디플정 실현 계획 중점 과제에 따라 구축됐다. 이를 통해 중점 과제별 관계부처 이행 상황을 점검한다. 부처 간, 공공·민간 간 갈등과 이견을 조기 조정하고 조율한다. 실현 계획을 예정대로 차질없이 실행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TF 인력은 현재 위원회 위원과 분과 전문위원, 관계부처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필요할 경우 전문가를 보강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5/29/news-p.v1.20230529.0ab23e865d974d60a721d18d620574e1_P1.jpg)
범정부 서비스 통합창구 구축 TF는 △행정·공공기관 주요 서비스를 통합 창구로 연계·통합 △한 번 로그인으로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합 인증 체계 적용 △범정부 서비스 통합 창구에 효과적인 사용자환경/경험(UI/UX) 구현 등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주요 5대 기관 시스템 서비스 연계·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한다. 행정·공공기관별 이용률이 높은 톱10 서비스를 선정하고 통합·연계 방안을 마련한다. 통합 인증 체계 구현 및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 관련 쟁점을 조정한다. 선진 UI/UX 구현과 적용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혜택 알리미 TF는 △AI 기반 혜택 알리미 구축 △디지털 지갑 구현 등 과제를 이행하기 위해 부처별 수혜성 서비스 선정기준 항목을 조사한다. 또 이를 추천해주는 알고리즘 개발을 논의하고 방향성 설정을 지원한다. 디지털 지갑과 민간 플랫폼을 연계하고, 기술 적용을 지원한다. 과정에서 관련법 제·개정 논의 등을 뒷받침한다.
구비서류 제로화 TF는 국민 이용도가 높은 민원 및 공공서비스에 대해 구비 서류 제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요구하는 법령 개정을 위한 쟁점을 조정한다. 또 연도별 첨부 서류 감축 대상 서비스안을 마련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한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맞는 정부의 근본 변화 방향을 제시했다”며 “국민·기업이 디플정 성과를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TF 중심으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