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5/21/news-p.v1.20230521.f8859266452e48ae86c34b9d08493af4_P2.png)
레드햇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정보기술(IT) 자동화 플랫폼 동향을 제시했다. 레드햇은 IT 자동화 플랫폼 부문 지속 혁신을 통해 고객 IT 관리 비용을 절감과 업무 효율성 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레드햇은 최근 ‘앤서블 오토메이트 2023’ 행사에서 이 같은 비전화 함께 최근 주요 이슈로 떠오르는 생성형 AI 기반 자동화 로드맵과 데모 세션을 포함해 최신 IT 자동화 트렌드를 전했다.
레드햇 IT 자동화 플랫폼인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시장조사업체 포레스터 리서치가 선정한 올해 1분기 인프라 자동화 부문에서 리더로 꼽혔다.
레드햇은 기존 레드햇 강점에 더해 이벤트 기반 앤서블과 프로젝트 위스덤을 통한 AI 기반 자동화에 역량을 집중한다.
이벤트 기반 자동화는 사람이 직접 개입하던 수작업이 사라져 빠르고 일관된 업무가 가능하도록 돕는다. 사내 IT 솔루션에 대한 분석, 서비스 요청 등을 자동화된 작업에 연결해 한 번의 동작으로 활동이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복잡한 사내 보안 규정에 맞춰 보안 사항을 점검하고 보안 수칙이 필요할 경우 이를 제시하는 것까지 자동화 플랫폼이 수행한다.
레드햇의 이벤트 기반 자동화는 ‘소스-룰-액션’에 이르는 유연성을 확보했다. 이 과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작업 실행이 가능해 시간을 단축한다. 자동화 솔루션을 기반으로 각종 이벤트에 대한 조치와 의사결정도 빠르게 이뤄진다.
이호진 한국레드햇 과장은 “이벤트 기반 자동화는 쉽고 빠르면서도 진보된 자동화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준다”며 “이벤트 기반 자동화 적용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자동화 적용 대상을 넓혀가는 발전 단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레드햇은 IBM리서치와 함께 ‘프로젝트 위즈덤’을 준비 중이다.
프로젝트 위즈덤은 AI가 자동 생성한 자동화 가이드를 통해 앤서블 플레이북을 더 쉽게 표준화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니셔티브다.
초보자도 △자동화 콘텐츠 생성 △자동화 콘텐츠 검색 △자동화 콘텐츠 최적화 △플레이북 내용 설명 등과 같은 기능을 이용해 자동화 업무를 쉽게 배울 수 있다. 전문가는 더 빠르게 자동화 업무를 진행한다.
프로젝트 위즈덤은 아직 프리뷰 단계다. 레드햇은 조만간 미국에서 개최하는 연례 최대 행사 ‘레드햇 서밋 2023’에서 프로젝트 위즈덤 업데이트 사항을 자세히 공유할 예정이다.
이명진 한국레드햇 이사는 “작은 컴퓨팅 파워에서도 최고 수준 정확도를 유지하는 모델 개발에 집중했고 IBM리서치가 연구한 결과 깃허브, 오픈AI 등에서 추진하는 유사한 프로젝트보다도 성능이 월등히 나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챗GPT는 오류 등으로 문제 발생 등 가능성이 있지만 프로젝트 위즈덤은 초급자와 전문가 간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 외에도 오류 감소와 생산성 증가 등 다방면에서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원영 한국레드햇 전무는 “코로나 상황 등을 거치면서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일상이 돼간다”며 “단순 개인 업무 효율성 증대에서 그치지 않고 조직 전반에서 자동화 효율을 느끼고 싶다면 직원에게 힘을 실어주고 자동화 적용 영역을 확대하는 동시에 하이레벨에서 시작해 조직 모든 레벨에 자동화가 침투하도록 이끌어야한다”고 조언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