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여성복지, 지역경제 활성화, 인구 고령화 등 각종 사회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9개 가명정보 결합 선도사례를 선정했다.
가명정보는 개인 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대체해 추가정보와 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한 정보다. 서로 다른 가명정보를 결합하면 새로운 데이터를 도출해낼 수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5/04/news-p.v1.20230504.c913cb00fb4840f89337aa0ad4133eee_P1.jpg)
선정과제를 살펴보면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에 따른 돌봄·복지 수요 대응, 사회복지제도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코로나19 환자치료 지역격차 분석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사회 현안에 관한 정책을 발굴하기 위한 공익적 차원의 연구과제들이 주로 포함됐다.
개인정보위는 선도사례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가명정보 제도 적용, 법령해석 등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 가명정보 활용 종합지원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가명처리를 위한 적정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적정성 검토 등 가명정보 결합 전과정을 무료 제공한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관계부처와 함께 각 사례별 결합 성과를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라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가명정보를 활용한 과학적 연구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가명정보 관련 제도개선 방안을 지속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