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AI로 물난리 대응한다···예측시스템으로 피해 최소화

Photo Image
정부가 디지털트윈·인공지능(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도시 침수 예보체계를 구축한다. 도시침수 예측 절차.

정부가 디지털트윈·인공지능(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도시 침수 예보체계를 구축한다.

침수가 우려될 때 지역 주민에게 신속하게 위험 정보를 알리고 실시간으로 침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재난 피해를 최소화는 데 초점을 맞춘다. 광주광역시, 포항시, 창원시 세 곳에 실증사업을 진행, 향후 전국 확산을 타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는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업무협약을 12일 체결했다.

업무협약은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 성공적 추진과 국민안전·대응력 강화를 위한 △소통·협력체계 구축 △기존 시스템·데이터 연계와 공유 △연구개발·제도개선 등을 담았다.

협약을 통해 경북 포항시를 포함해 광주광역시, 경남 창원시 침수 취약지역에 기상청 강수 예보(6시간 전) 자료를 활용해 침수위험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을 실증한다. 해당 지역은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로 인해 침수 피해를 입은 지역이다.

Photo Image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 등 참석자가 12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침수 대응 범정부 업무협약식 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문영훈 광주광역시 행정부시장,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최만림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는 내년까지 실증사업에 160억원을 투입한다.

△도시침수 분석·예측을 위한 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실시간 침수 모니터링·스마트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 △내·외수 연계 도시침수 예측 가상모형(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구축 △도시침수 통합관제 시스템·대응 매뉴얼 구축 등을 추진한다.

양 부처와 지자체는 실증사업을 통해 대상 지역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에 사물인터넷 감지기(IoT센서), CCTV 등 현장 계측정보를 연계한다. 침수가 발생하거나 우려될 때 지역 주민에게 신속하게 홍수 위험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하천 범람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한 경북 포항시 냉천에 강우량, 수위,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목적 관측소를 설치했다. 올여름 자연 재난 대책 기간(5월 15일∼10월 15일) 동안 천변 주차장 등 주요 지점 하천 수위정보를 우선 제공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하천홍수와 도시 침수 피해 최소화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역별로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해 AI 예측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종합 대응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향후 전국 확산 노력을 통해 국민 안전에 기여하도록 환경부, 지자체 등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하수도 등 침수방지시설 능력을 초과하는 극한 강우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시설 정비만으로 국민 안전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 시간(골든타임)을 확보하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