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카카오 화재' 재발 방지 대책 "배터리 간격확보·법개정"

Photo Image
복수 데이터센터 사용사업자 다중화 체계 예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와 카카오·네이버 등 서비스 장애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의 대책이 나왔다. 배터리 적정 이격거리를 1m이상 확보하고, 배터리실 내 전력선 포설을 금지하도록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15일 발생한 사고의 후속 조치로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을 30일 발표했다.

지난해 실시한 민간 데이터센터 86개 시설 재난관리 실태점검와 현황조사 실시결과 △사전탐지 및 초기대응 한계로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 어려움 △전력공급 생존성 한계 △데이터센터 서비스 다중화 △모의훈련 미비 등 부재한 대응체계 등이 꼽혔다.

정부는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을 △데이터센터 안정성 및 생존성 강화 △신속한 장애 극복을 위한 디지털서비스 대응력 및 복원력 제고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대비한 디지털 위기관리 기반 구축의 3개 분야로 마련했다.

우선 화재 같은 재난 상황에서 데이터센터가 안정적으로 유지·운영되려면 배터리 화재 사전탐지 시스템을 고도화·다중화해야 한다. 재난예방 강화를 위해 10분 단위까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배터리 계측 주기를 10초 이하로 단축하는 등 BMS를 개선하게 했다. BMS는 센서로 배터리 내 온도와 전압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BMS 외에도 다양한 배터리 이상징후 탐지체계를 병행 구축하게 했다.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온도 상승 시 누설 가스 또는 배터리 연결케이블 단락시 열 화상 탐지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긴급 상황 탐지 시 재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하는 경보장치 및 자동 수동 겸용 UPS-배터리 연결 차단 체계를 설치하도록 했다.

Photo Image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해야 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실 내 UPS 등 타 전기설비 및 전력선 포설을 금지시켰다. 배터리 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배터리 랙 간 이격거리(0.8~1m 이상)를 확보하도록 했다. 배터리실 내에서 내화구조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 1개당 설치 가능한 배터리의 총 용량을 제한(5㎿h, 산업부 한국전기설비규정)한다. 만약 공간이 부족할 경우는 화재확산 방지포, 차열 방화문, 내화케이블 등 대안조치를 강구케 했다.

또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의 연속성과 생존성을 확보해야 한다. 재난 발생 시 전력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UPS 등의 전력차단구역을 세분화해 단계별 차단(개별 설비→설비 그룹→층)이 가능하도록 했다. 설비에 접근해 직접 차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해, 원격으로 전력을 차단하거나 UPS를 거치지 않고 전력을 우회 공급하는 전력 바이패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예비전력도 이중화해야 한다.

Photo Image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방지를 위해 배터리 랙, 모듈 또는 셀에 내부적으로 소화약제가 설치된 '자체 소화약제 내장 배터리'를 도입하도록 할 계획이다. 해당 배터리를 도입한 데이터센터는 배터리 이격거리 의무의 예외를 인정할 계획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발생 시 가연성 가스로 인해 고압가스가 폭발하거나 인명 피해가 나타날 우려가 있어 '급속 배기장치'를 설치하게 했다.

데이터센터 안정성 제도를 개선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센터 재난의 예방·대비 및 생존성 확보에 필수적인 사항을 반영해 BMS 설치 및 검사 실시, 배터리실 내 전력선 포설 금지 및 재배치 등 '집적정보 통신시설 보호지침' 세부기준 개정을 추진한다.

일부 사업자들이 개정된 기준을 즉시 적용·이행하는 일이 어려울 경우 이행계획 또는 대안조치 계획을 수립·제출토록 하고 전문가 협의체에서 적정성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정부는 기술 연구개발도 추진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에 효과적인 액상 소화약제 개발, 기습 폭우 시 전기설비 침수를 방지하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차수벽, 전고체 배터리 등 데이터센터 안전기술과 함께, 디지털 트윈 기반 위험 예측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데이터센터·부가통신서비스 재난 대응체계를 원점에서 엄중히 재검토해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안정성 강화방안을 마련했다”며 “국민께 끊김없는 디지털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이 방안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