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예타 예산 줄여 재도전...中企 부품기술에 집중

Photo Image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예산을 일부 축소해서 예비타당성조사에 재도전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 국정과제인 6G 활성화를 준비하고 글로벌 주도권을 선점하는 데 속도를 내겠다는 접근이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달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국이 신청한 '차세대 네트워크산업(6G) 기술개발 사업 대상사업'에 대해 대상 선정 심사(옛 기술성 평가)에 착수했다. 2차 6G 예타 사업이라 불리는 이번 사업은 2024~2030년 7년 동안 6G 기술·장비·부품 개발, 상용화 서비스까지 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3분기 대상 선정에서 탈락했으나 6G 예타보고서 기획반을 재가동하면서 1분기 만에 재도전에 나선다. 과기혁신본부는 예타 계획안에 대해 새해 1월 대상 선정 심사를 완료하고 본심사 실시를 확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예산 일부 축소를 택했다. 업계에 따르면 기존 약 9000억원에서 2000억원 안팎이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서브테라헤르츠(Sub=㎔) 대역 관련 일부 과제는 민간에 맡긴다. 기존 사업에 포함된 서브테라헤르츠 관련 무경계 네트워크 기술 개발 등은 제외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 대신 중소기업이 제조를 담당하는 무선 부품 기술 관련 연구개발(R&D)에 초점을 맞춘다. 6G 무선 액세스망과 지능형 커버리지 구현을 위한 단말기와 기지국·중계기 등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소자, 부품 및 모듈 기술 연구에 집중한다. 중소기업이 5G 때처럼 시기를 놓치지 않고 6G 생태계를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어퍼 미드밴드(Upper-midband)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지국용 E-MIMO 소자, 부품, 안테나 모듈 국산화 등의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밖에도 2025년까지 19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진행 예정인 '6G 핵심기술 개발사업(1차 6G 예타사업)의 일부 중복 과제를 조기 종료하고 2차 산업에 편입시키기로 했다.

재도전에서도 또다시 예타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정부가 발표한 6G 상용화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특히 2026년 Pre-6G 시범 시연 등을 2027년으로 미루는 등 로드맵이 수정될 수밖에 없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기업 및 학계로 구성된 기획반 사이에서도 절치부심, 이번 예타를 반드시 통과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통신업계 전문가는 “통신 3사나 삼성전자, LG전자 등 관련 기업은 상용화 일정에 맞춰 신규 주파수 대역을 연구하고 6G에 적용 가능한 오픈랜, 초소형 안테나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며 “예산을 확보해 업계 손실 발생을 막고 글로벌 협의체와의 표준화 협업 등도 예정대로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