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인]데이터센터 규제, 실효적 대안 찾아야

데이터센터 전기실 상당수가 지하에 있다는 점이 확인됨에 따라 전기실 탈 지하화 등 비현실적 논의보다 현실성 있는 데이터센터 안전 대책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자칫 현실을 도외시한 규제가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수 있고 데이터센터 고객 부담도 늘리는 등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상당하다.

Photo Image

◇전기실 위치, 화재와 관련 없어

SK(주)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 마비 사태 이후 일각에서는 지하 공간을 전기실로 이용한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지하 임대료가 저렴해 전기실로 사용하지 말아야 할 공간을 전기실로 사용한 게 사태를 키운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이로 인해 지하는 데이터센터 전기실 용도와 맞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급기야 주요 시설물 지하 배치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향후 후속 조치 논의에서 이런 주장이 반영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Photo Image

그러나 전기실이 지하에 위치한 것과 화재가 발생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상당수 수도권 데이터센터가 전기실을 지하에 두는 가장 큰 이유는 부지 확보 어려움 때문이다. 이상현 킨드릴코리아 실장은 “해외는 넓은 부지에 데이터센터 시설을 넓게 짓지만 국내 환경에서는 지상에 전기실을 두는 게 쉽지 않다”며 “이는 글로벌 사업자도 인정하는 부분으로, 기반 설비가 지하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없다”고 말했다. 전기실이 지하에 있어 불이 났고 피해가 커졌다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는 설명이다.

Photo Image

◇사태 원인 제대로 파악해야

데이터센터 기업은 SK(주)C&C 판교 데이터센터가 전기실 시설을 한곳에 모아 배치한 점이 화재를 키웠다는 지적에 반론을 제기한다. 전기실을 구성하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실이나 배터리실, 발전기실은 겹겹이 격벽이 있고 화재에 대비한 방화벽도 갖췄다. 판교 데이터센터는 화재 진압 당시에도 서버실이 위치한 2층은 물론 1층 로비에도 그을음이 올라오지 않았다. 서버실 내 서버도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

화재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배터리에서 발생한 불길이 전기실 위 대형 강판으로 이뤄진 케이블 보호 장치(부스덕트)를 태우면서 카카오 서비스 복구가 늦어졌다는 것이다. 결국 부스덕트가 화재 충격을 버티지 못하면서 사태가 커진 것이다.

Photo Image

◇배터리실 격리가 현실적 대안

전문가는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화재에 대비한 케이블 재배치, 배터리실 위치 변경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특히 배터리실을 격리(재배치)하는 게 현재로서는 최선의 대안이라는 게 중론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거에 사용하던 납 배터리보다 저렴하고 수명이 길다. 차지하는 공간도 납 배터리 3분의 1 수준이다. 모든 데이터센터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쓰는 이유로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문제는 화재 시 가스가 아닌 물로 진화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일각에서 논의되는 배터리실이나 UPS 이중화, 전기실 지하 설치 규제 등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거론된다. 일부 데이터센터가 배터리실을 지상 각 층에 분산해둔 것을 배터리실 이중화로 착각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수도권 데이터센터가 전기실을 지상에 두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기업은 사업성이 떨어지고 이용 고객은 비용이 오를 수 밖에 없다. 중소 데이터센터 사업자는 사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현실적 규제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표〉국내 주요 데이터센터 전기실 현황


[뉴스줌인]데이터센터 규제, 실효적 대안 찾아야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