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허원석 과기정통부 SW정책관 "디지털 인재양성에 민·관 역량 총결집해야"

“디지털 혁신기업이 성장하고 디지털 전환이 대세가 됨에 따라 디지털 인재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한 것도 이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대 중점 추진과제를 통해 지원할 계획입니다.”

허원석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국장)은 이달 16일 열린 '정보통신의 미래를 생각하는 모임'에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발표 배경과 과기정통부 추진 과제를 소개했다.

Photo Image
16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9월 정보통신 미래모임이 열렸다. 허원석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이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디지털 인재 수요 지속 증가

허 국장은 디지털 전환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가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제조·금융 등 비 ICT 산업에서도 디지털 인력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 ICT 산업 디지털 인력은 2017년 18만9000명에서 2019년 27만명으로 늘어나는 등 연평균 20%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와 미래차 등 첨단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 산업 재편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허 국장은 “디지털 혁신 성패는 우수한 디지털 인재 확보”라며 “디지털 선도국은 민·관 협력 강화와 범국민 디지털 교육을 통해, 빅테크 기업은 인재 선점 등을 통해 디지털 인재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도 2018년부터 초·중등 SW교육 의무화를 비롯해 꾸준히 정책을 발표했고, 최근 5년간 관련 예산은 2230억원으로 과거 대비 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향후 5년간 디지털 인재 73만8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업과 대학, 민·관 역량 총결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2일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은 5년간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부가 총괄하지만 SW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가 콘텐츠 상당 부분을 제공, 과기정통부 역할이 중요한 정책이다.

Photo Image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9월 정보통신 미래모임이 열렸다. 허원석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이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민·관 역량 총결집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해 △민·관 역량을 총결집한 인재양성 체계 구축 △대학을 첨단·디지털 산업 인재양성 전진기지로 재편 △미래 세대 디지털 역량강화 △인재양성-유지-유치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등 4대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민·관 역량 결집을 위해서는 기업이 대학 내 개설해 인재를 양성하는 '캠퍼스 SW 아카데미', 기업-대학-지자체 협력형 '네트워크형 캠퍼스 SW아카데미', 중소기업 공동교육과 채용연계형 '기업 멤버십 SW캠프'를 올해 신설한다.

기업 자체 교육 확산을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디지털 리더스 클럽', 산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한 민·관 협력 체계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 출범도 추진한다. 허 국장은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는 10월께 출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대학을 첨단·디지털 산업 인재양성 전진기지로 재편하기 위해 차세대 반도체, 인공지능(AI), 데이터,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5대 분야 대학원을 신설·확대한다.

대학 ICT연구센터는 AI, 양자, 반도체, 사이버보안, 5G 5대 분야를 선정, 48개에서 80개로 늘릴 계획이다.

슈퍼 엘리트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215개 기관이 참여하는 AI혁신허브를 운영하고, 46개 SW스타랩은 2027년까지 60개로 늘릴 방침이다.

허 국장은 “SW 중심대학은 현재 44개에서 5년 후 100개로 늘리고, KAIST와 DGIST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확대하는 등 대학 디지털 교육을 전면화할 것”이라며 “학·석사 통합과정(3.5+1.5년), 1년 속성 마이크로 학위 확산 등 패스트러닝 트랙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빌딩에서 9월 정보통신 미래모임이 열렸다.

◇전 주기 지원체계 구축

과기정통부는 미래 세대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해 초·중·고 디지털 교육 시스템을 혁신한다. 정보과목 시수를 현행 필수 51시간에 자율시간 활용 51시간 이상을 추가한다. AI선도 학교는 올해 1095개에서 2027년 2200개로, 초중고 정보 교과서는 지난해 7개에서 2027년 19개로 확대한다.

일정 규모 이상 학교에는 정보교사 1명을 배치(교육부)하고, 미래채움센터를 통해 학교 내 보조강사 역할을 해줄 디지털 튜터를 연 770명 양성한다.

역량있는 인재의 조기 양성과 산업계 진출을 위해 SW영재 학습을 40개에서 3년 후 70개로 늘리고, 연내 'SW영재교육 종합계획'을 내놓을 계획이다.

군 복무 맞춤형 디지털 교육도 실시한다. 병사 대상 수준별 맞춤형 SW·AI 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군 간부 대상 AI·SW 소양교육 및 전문교육을 실시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인재양성 전 주기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재능 사다리'를 구축한다. 역량 평가 모델을 개발해 디지털 역량 검증 체계를 마련하고, 최고급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한다. 교육 이력을 담은 디지털배지를 활용, 경력 활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재능 사다리 골자다.

허 국장은 “인재양성 사업의 취·창업 경로, 주기적 취업률 조사를 통해 성과 분석을 강화할 것”이라며 “채용이나 맞춤형 교육을 위한 디지털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데이터 기반 인재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