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재고 증가율 26년만에 최고...장기화 우려

국내 기업 2분기 재고 증가율이 2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기업 활동으로 본 최근 경기 상황 평가'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2분기 산업활동동향의 제조업 재고지수 증가율은 18.0%를 기록했다. 분기별 수치로는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2분기(22.0%)이후 26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폭이다.

Photo Image
분기별 제조업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감률 (자료 대한상의)

대한상의는 “재고는 경기 변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줄어들기 마련이지만 최근 재고 증가 흐름은 작년 2분기를 저점으로 4개 분기 연속 상응하는 이례적인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작년 2분기 대기업 재고지수 증감률이 -6.4%에서 올해 2분기에는 22.0%로 치솟았다. 중소기업은 2021년 2분기 1.2%에서 7.0%로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대기업 재고자산은 작년 2분기 61조4770억원에서 올해 2분기 89조1030억원으로 증가해 7조4370억원에서 9조5010억원으로 늘어난 중소기업 재고자산 증가분을 압도했다.

Photo Image
기업 규모별 재고지수 증감률 및 재고자산 추이 비교(자료 대한상의)

세부 업종별로는 '비금속 광물제품' 재고자산이 79.7% 증가율로 가장 높았다. 이어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64.2%),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8.1%), '1차금속'(56.7%) 등의 재고자산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최근 급격한 재고 증가 원인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코로나19 특수 대응 차원에서 늘린 공급 △국제유가·원자재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한 원자재 초과확보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늦어진 제품 출하를 꼽았다.

장기간 재고지수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무역수지 개선 등 수출종합 전략을 조속히 실행하고 코리아 세일 페스타·동행세일 등 내수 진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반기 중 진행해야한다는 분석이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가용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며 “기업 채산성 악화가 생산 감소, 고용·투자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규제·노동·금융·교육 등 구조개혁으로 우리 경제의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야한다”고 말했다.


정다은기자 dand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