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시사용어]5G PPP

Photo Image

5세대 이동통신 Public Private Partnership의 약자다. 5G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자와 다른 산업의 사업자 간 협업 체계를 구축, 실무·현장 차원에서 공급과 수요를 전략적으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G플러스(5G+) 융합서비스 확산전략'을 통해 발표했다.

5G PPP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5G 공급망 구성이 선행돼야 한다. 5G 장비·단말·모듈·칩·애플리케이션 등 5G 산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이 제공 가능한 기술과 서비스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데이터화해서 수요기업 연결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5G 공급망 구성 이후에는 5G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처가 산업별로 파악돼야 한다.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찾아 5G 공급망과 연결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재난·안전, 건강 등 5G 버티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5G PPP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유럽은 5G IA(인프라협회)를 주축으로 인프라, 디바이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플랫폼 관련 기업 수천개를 5G 공급망으로 확보하고 다양한 수요기업과 연결해 5G 생태계라는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5G 융합 서비스를 탄생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기업(B2B) 분야의 5G 융합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5G PPP가 실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가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5G PPP를 재추진하고, 나아가 6G PPP와도 연계할 방침이다. 5G PPP를 실행할 전담 조직 또한 발굴할 계획이다. 5G 생태계 확대를 위해 설립된 산·학·연 협의체인 5G포럼 등이 해당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