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디지털 대전환 연착륙에 총력을 기울인다. '산업 디지털전환 촉진법' 제정으로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로드맵대로면 디지털 대전환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최소 수백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측됐다.
정부는 올해 디지털전환을 가속하는데 약 9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애초 정부는 디지털전환을 위해 지난 2020년 추가경정예산부터 올해까지 총 23조4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2025년까지 총 투자금은 58조2000억원까지 확대된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인적·물적 지원에 나선다. 대표적인 것이 민관 협력 기반 소프트웨어(SW) 인재 양성이다. 작년 말 고용노동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025년까지 SW 인재를 총 41만3000명 양성키로 했다. 이를 위해 '범부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예산' 1조6000억원을 편성했다. SW 인재 양성은 전문기술이 요구되는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를 위해 수반돼야 하는 정책으로 꼽혀왔다.
정부 출연연구기관들은 전문성과 특성을 살려 디지털 전환에 필수인 양질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작년 말 산업 디지털전환 촉진법이 국회에서 통과됐다. 이를 통해 기업이 산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전담기관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지정됐다.
KIAT는 3년 단위 산업 디지털 전환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산업 데이터 수집 및 생성, 활용 등 제도적 조치를 마련한다. 이미 8개 분야의 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시작했다. 또 디지털 산업혁신 펀드를 조성해 디지털 대전환을 추진하는 기업에 민간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지털 대전환은 국가별 주요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는 독일과 프랑스, 일본, 미국이다. 이들 국가는 디지털전환 인식을 제고하고 관련 기술 도입과 확산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실행하고 있다. 국가 단위 디지털전환 전략을 추진한다. 빅데이터 수집이 주요 과제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대전환에 성공할 경우 천문학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컨설팅 업체인 알파베타가 작년 9월 발표한 '한국의 디지털 잠재력 실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디지털 전환을 활용했을 때 오는 2030년 창출할 경제적 가치는 2360억달러(약 282조3740억원)로 추산됐다.
다만 이를 위해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중소기업들이 첨단 기술과 디지털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기술이 촉진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기업들이 디지털 수출 기회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야 한다고 봤다.
국회 차원에서도 디지털 전환 파급 효과는 클 것으로 전망됐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지난 2020년 말 작성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국경제사회 파급효과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에 따르면 정부 투자로 디지털 전환이 진전되면, 산출효과는 236조4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석영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은 “정부가 밀고 민간이 끌어나간다면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는 더욱 빠르게 자리 잡을 것”이라며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이 산업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 기반 사업 혁신을 발판삼아 초연결·초지능화 사회에 잘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류태웅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