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 전환 이슈 논의 민간 소통 협의체 1월 출범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공공 클라우드 전환 계획

공공 클라우드 전환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를 논의할 민관 소통 협의체가 이르면 1월 말 출범한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추진 방식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행정안전부는 네이버클라우드, NHN, 카카오엔터프라이즈, KT 등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과 공공 클라우드 전환 이슈를 논의했다. 협의체 출범을 앞두고 기업 의견을 청취, 논의 사항을 정리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다.

행안부가 협의체를 운영하려는 목적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추진 과정에서 불거진 이슈를 해결,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다. 최우선 협의가 예상되는 이슈는 민간 클라우드 센터 활용 규모다.

정부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1만여개를 2025년까지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이전한다. 첫 해인 지난해 430개 정보기술(IT) 시스템 이전을 담당할 사업자를 선정했고 올해는 2149개 IT시스템 이전 사업자를 선정한다.

행정안전부는 5년 로드맵을 발표하며 민간 클라우드 센터 활용 비중을 45.5%로, 나머지는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활용한다고 밝혔다. 기업은 민간 클라우드 센터 활용률이 예상보다 낮다며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행안부는 보안 등을 이유로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행안부가 발표한 '민관 협력형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통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비율이 계획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협의체에서 민관 협력형 공공 클라우드 센터 구축 방안, 운영 방식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의 경우 공공은 망 분리로 내부 업무에 민간 SaaS 사용이 불가능하다. 국정원 등 지원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행정안전부가 '공공 업무망에서의 민간 SaaS 활용 촉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민간 SaaS 활용을 논의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비스형 인프라(IaaS)가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받은 경우에 설치되는 일반 소프트웨어(SW)는 별도 인증이 필요한지도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CSAP를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는 27개인데 이 중 21개가 IaaS다.

이용료도 이슈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는 한번에 지불하는 게 아니라 매달 이용하는 만큼 지불하는 게 기본 과금 체계다. 공공기관은 부담이 커진다고 느낄 수 있어 이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사업자 선정 방식을 둘러싼 논의도 있을 전망이다. 현재는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나 IT서비스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서비스를 제안한 이후 수요기관이 사업자와 CSP를 선택하는 절차를 거친다.

MSP나 IT서비스 기업 주도로 진행되는 현재 방식뿐만 아니라 CSP가 주도하는 사업도 있어야 한다는 게 일부 CSP 주장이다. 두 방식이 혼합돼 사업이 추진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진행하며 겪은 시행착오를 협의체를 통해 해결할 것”이라며 “1월 협의체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표〉공공 클라우드 전환 계획

공공 클라우드 전환 이슈 논의 민간 소통 협의체 1월 출범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