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발굴 연계 협력
인식 개선 자발적 참여 유도 계획
권칠승 장관 "장기 로드랩 뒷받침"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11/1476993_20211123165037_181_0001.jpg)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중소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도입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중앙회, 대한상의와 함께 23일 서울 대한상의에서 '중소기업 ESG 준비 민·관 협의회' 발족식을 개최했다.
협의회는 중소기업의 ESG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중소기업 지원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다. 현장의 목소리 청취 및 정보공유, ESG 지원사업 발굴·연계 등 협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행사에서는 '중소기업 ESG 촉진방안' 발표와 함께 중소기업 ESG 체크리스트 자가진단 시연, 유관기관 간 업무협약 등이 진행됐다.
중기부는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 위해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중소기업 ESG 촉진방안'을 만들었다. 지원에 초점을 맞춰 중소기업 부담을 최소화하고, ESG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중소기업의 ESG 인식 제고를 위해 국내외 주요 평가지표와 지난 8월 발표한 'K-ESG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항목을 선별, '중소기업 ESG 체크리스트'를 마련했다. 체크리스트는 인식 개선을 위한 최소 수준의 지표로, 자가진단용으로 활용된다. 현재는 단일지표지만 향후 규모·업종·기업 특성별로 유형화하는 등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 ESG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에는 대·중견기업 등의 상생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협력사에 대한 ESG 지원을 동반성장지수 가점에 반영하는 등 참여를 촉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글로벌 ESG 확산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수출기업에는 ESG 관련 해외인증 획득 시 가점을 부여하고 수출국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 등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 밖에 탄소중립 관련해서는 전용 자금, 탈탄소 R&D 등을 지원하고, 사회(S)·지배구조(G) 분야는 우수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통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니 중소기업의 ESG 인식과 대응 준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부족해 별도의 지원방안이 절실하다고 느꼈다”며 “중소기업들이 최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고 차근차근 대응해나갈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갖고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