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코로나 확진 급증, '매뉴얼' 대응으로

Photo Image
7일 오전 서울 송파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일 3000명대로 올라섰다.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3187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번째로 많은 규모를 기록했다. 3000명을 웃돈 것도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난 9월 25일(3270명) 이후 두 번째다.

확진자 급증은 이달 초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 체계로 전환하면서 예상된 일이다. 사적 모임 제한이 대폭 완화되고 프로야구 등 스포츠 경기장도 대부분 정상 체계로 운영됐다. 그만큼 시민의 대면 활동과 이동량도 늘어났다.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 시행 이후 택시 애플리케이션(앱) 호출 건수가 폭증했다는 통계가 나오기도 했다. 정부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확진자 증가를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일일 확진자 3000명이라는 숫자가 주는 부담감은 가볍지 않다. 정부가 가장 염려한 위중증 환자도 연일 최다치를 기록하고, 이로 인해 하루 사망자도 20명대가 이어졌다. 이에 정부는 위기를 인식하고 매주 위험도를 모니터링해 일상회복 중단 여부를 살피기로 했다. 코로나19 위험도를 '매우 낮음'에서 '매우 높음'까지 5단계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현 상황을 엄중히 보고 대응 강도를 높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과도한 대응 또한 경계해야 한다. 단계적 일상회복은 전문가 논의와 사회적 공감대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다. 이보다 앞서 각 돌발 상황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도 마련해 놓은 상태다. 확진자 숫자가 주는 의미는 단계별로 맞춰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숫자가 막연한 공포감으로 번져서는 안 된다. 정부가 밝힌 대로 매뉴얼에 맞춰 그때그때 상황에 적합한 조치를 해야 한다.

시민 차원의 노력도 필요하다. 단계적 일상회복 체제 아래 활동을 정상화하되 개인 방역 수칙은 항시 준수해야 한다. 확진자 급증을 염려하면서 정작 자신은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곤란하다.

다시 우리 일상이 '멈춤'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정부는 단계별 대책을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개인은 이에 맞춰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나아가는 현명한 대처가 요구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