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금융 산업이 대면 접촉 대신 인공지능(AI), 인터넷, 모바일 등을 활용한 언택트 금융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플레이어들은 이제 위드 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새로운 금융 시대가 열렸다.

모바일 기기 대중화와 함께 AI, 응용프로그램개발환경(API), 클라우드컴퓨팅,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등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여파가 금융시장에서 핀테크와 빅테크 금융의 진출 확대를 견인했다. 최근 들어 디지털금융 리더십 선점 경쟁이 치열해졌다.

금융시장에 다양한 IT 기반의 플레이어가 진입하면서 금융서비스는 다양해지고 고객 만족도는 높아졌다.

반면 자금 이동성 증대에 따른 금융사의 유동성 리스크 확대, 출혈 경쟁에 따른 위험투자 증가 등 금융안정성 우려도 아이러니하게 커졌다. 최근 시중 은행이 가계부채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규 대출을 중단하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금융환경에 걸맞은 정책 과제 모색이 요구되는 가운데 화두로 떠오른 것이 바로 데이터다.

플랫폼 사업자들이 디지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일반화됐다. 단순히 디지털을 앞세우는 데 그치지 않고 디지털전환 양상을 유심히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력이 금융기업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최근 제3 인터넷 전문은행 토스뱅크가 출범했다. 출범하자마자 약 5000억원의 자금은 동이 났고, 대기자만 수만명에 이른다. 그동안 전통 금융에 불편을 느껴 오던 소비자들이 플랫폼 기반 디지털 금융으로 갈아탄 셈이다. 토스를 비롯한 핀테크·빅테크 기업이 다양한 형태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금융과 비금융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 기업이 자체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작했고, 기존 상거래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용평가와 소액대출 등 금융서비스로 외연을 넓히고 있다.

반대로 은행 등 전통 금융사가 여러 빅테크와 손잡고 융합 서비스를 선보이는 사례도 늘고 있다.

중국 알리바바와 미국 아마존이 대표적이다.

소셜미디어와 메시징 기업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용자 간 네트워크를 활용한 간편송금 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영역의 부가 금융서비스를 내재화하고 있다. 페이스북과 텐센트가 이 진영에 속한다.

검색엔진 기업은 검색 결과를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연계, 소비자 접점과 금융서비스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구글, 바이두, 네이버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의 경우 지급결제 영역 중심으로 빅테그 진출이 가속화했다. 내년에 개화하는 마이 페이먼트, 종합지급결제업 등을 통해 테크기업의 금융업 진출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전환은 데이터 금융 확산과 직결된다. 고객 관리 고도화가 이뤄지고, 정보 통합이나 디지털 채널 활용 등 맞춤형 서비스가 속속 출현하고 있다. 또 금융정보와 비금융정보, 공공정보와 민간정보, 특정 그룹과 일반 정보 통합이 촉진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디지털금융의 핵심은 데이터이다. 오픈뱅킹 시행, 데이터 3법 개정, 마이데이터 산업 도입 등이 규제 완화의 촉매로 작용했다. 금융 경영의 전통 방식도 크게 바뀌고 있다.

코로나19가 촉발한 언택트 금융의 지형 변화는 기존의 전통 금융사로 하여금 다양한 생존전략을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한 기업이 어느 플랫폼 내 가치사슬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느냐의 문제는 어떤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는가와 직결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 결합을 통해 소비자 행태를 더욱 쉽게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면 소비자 유입을 극대화하고 이를 수익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사업자 경쟁력의 원천은 데이터 양과 분석 능력이다.

플랫폼 이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매우 낮은 한계 비용으로 수집, 축적할 수 있어야만 디지털 금융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법제와 인프라 정비가 필요한 때다.

우리나라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등 정책당국 간에 더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진흥에 필요한 각종 입법 노력을 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