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 이상 "여전히 주52시간 대응 어려워"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주52시간제 시행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난은 물론 인건비 부담이 주된 이유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1일부터 16일까지 중소기업 41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주52시간제 시행 실태 및 제도개선 의견조사'를 14일 발표했다.

중소기업의 54.1%는 '주52시간제 시행이 여전히 어렵다'고 답했다. 주52시간제 시행이 어려운 이유로는 구인난이 52.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사전 주문 예측이 어려워 유연근무제 활용이 어려움' (51.3%), '추가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5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제 대응 방법은 '탄력근로, 선택근로 등 유연근무제 도입'이 30.7%로 가장 많았다. 5~29인 기업은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 활용'(40.9%)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는 대다수(75.6%)가 탄력근로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55.1%)은 유연근무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제 현장 안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법·제도 개선사항으로는 '특별연장근로 기간 확대 및 사후인가 절차 완화'가 3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사합의 기반 월 단위 연장근로제 도입'과 '탄력근로제 사전근로계획 수립 및 변경방식 등 요건·절차 완화' 등이 뒤를 이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여전히 상당수 중소기업이 주52시간제 시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근로자도 주52시간제 시행으로 저녁 있는 삶을 누리기보다는 연장수당 감소분을 보전하기 위해 투잡(Two-job)을 뛰고 있다”면서 “최소한 노사가 모두 원할 경우 더 일할 수 있도록 노사합의 기반 월 단위 연장근로제 도입, 특별연장근로 인가제 개선 등의 제도적 보완책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Photo Image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