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훈 "문체부 추진중인 스마트관광사업, SKT 등 통신사 배만 불려줘"

문화체육관광부의 스마트관광사업이 SKT, KT와 같은 통신사에 고액의 데이터 사용료를 지불하는 사업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동구남구을)이 1일 문체부에서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스마트관광사업 도시로 2020년 인천광역시 중구가 선정됐고, 2021년에는 수원화성, 대구 수성구, 여수시가 선정됐다.

스마트관광사업은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가 관광선진화를 위해 2020년부터 추진하는 공모사업이다. 사업비는 지난해 선정된 인천 중구는 국비 35억원 포함해 88억, 올해 선정된 3개 도시는 70억원이다.

이들 선정도시는 빅데이터 수집, 분석을 위해 하나같이 통신 대기업과 계약을 맺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천 중구와 수원화성은 SK텔레콤과 사업을 추진 중이고, 대구 수성구와 여수시는 KT와 계약을 맺었다. 이 과정에서 지자체가 통신사에 거액의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인천 중구는 지난해 SK텔레콤에 총사업비 88억원 중 12억원을 데이터사용료와 망구축비, 데이터분석 비용으로 지불했다. 다른 지자체들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비슷한 규모의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사업을 준비하던 지자체의 경우는 통신사가 과도한 비용을 요구해 공모준비를 중단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hoto Image
이병훈 의원

이 의원은 인천시가 스마트관광사업을 인천시 전체로 확대하려면 통신사에 매년 10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스마트 관광사업은 사업범위가 종로 인사동 거리 정도인 4㎢에 불과하다. 이병훈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전체 면적이 1063㎢인 인천시가 주요 관광지, 쇼핑지역, 번화가를 중심으로 대략 385㎢정도만 사업을 확대하려고 해도 연간 1150억원의 데이터 사용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의원은 “관광선진화를 위한 문체부 공모사업이 쉬운 선택을 통해 통신사 배만 불리는 방향으로 추진돼선 안 된다. 관광데이터 수집 방식과 데이터 분석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