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공사 "아파트 정전사고, 준공 20년 이상 아파트 전체 42% 차지"

Photo Image
아파트 정전사고 후 임시복구 장면 <자료 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아파트 정전사고의 42%가 준공 20년 이상 아파트에서 발생한다고 29일 밝혔다.

전기안전공사가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에버서비스 등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을 펼쳐온 결과에 따르면, 신고 접수 처리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 이상 된 아파트에서 일어난 사고가 353건(전체의 42%)이다.

세대수 별로 나눈 통계에서는 500세대 미만 아파트 정전사고 비중이 56%(471건)로 가장 높았다. 준공된 지 오래 된 중소규모 단지 아파트는 가설 당시 세대 당 전기사용량 기준을 대부분 3㎾로 설계해 변압기 과부하 사고 발생률이 그만큼 높은 까닭이다.

사고 기기별로는 저압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고, 변압기와 특고압기기가 각각 18%, 13%를 차지했다.

월·계절별 사고 통계를 살표봐도 무더위가 한창인 7월에서 9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정전사고가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전기안전공사는 이 같은 아파트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아파트 전기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 중인 변압기,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기사용량이 변압기 적정용량을 넘어설 때를 대비해 즉시 교체가 가능한 예비제품을 마련해야 한다.

여름철 정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변압기 상태에 대한 수시점검과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과부하가 우려될 때는 단지 내 입주민에게 냉방기기 사용 자제 등 절전 안내방송으로 신속히 상황을 전해야 한다. 비상용 발전기는 평소 충분한 사전 점검으로 정전 사고 시 즉각 가동하도록 관리한다.

임종민 전기안전공사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기관의 정밀진단과 점검으로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해야 한다”면서 “이상 있는 설비는 제 때 교체해주는 것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표>아파트 준공연도별 정전사고

자료: 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공사 "아파트 정전사고, 준공 20년 이상 아파트 전체 42% 차지"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