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공공, 클라우드 전면 전환…국내 시장 성장 이끈다

공공시스템 운영 효율·보안 강화 기대
2025년까지 100% 클라우드 전환 목표
민간센터 이전비율 갑절 늘어나고
내년 사업발주 이어져 시장 활성화

Photo Image
연도별 클라우드 전환 계획, 목표(자료:행안부)

정부가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면 전환 사업에 착수한다. 소규모 전산실에서 운영하던 시스템을 공공·민간 클라우드 센터로 이전, 시스템 운영 효율·보안 등을 높인다. 클라우드 전면 전환으로 정부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 신규 수요가 창출되면서 성장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Photo Image

◇절반 이상 노후화…1만여개 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

정부는 지난해 디지털 뉴딜, 디지털 정부 전환 등 계획 일환으로 2025년까지 공공부문 시스템을 100% 클라우드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난해 정부는 중앙행정기관(540개), 지방자치단체(245개), 공공기관(476)개 등 1261개 대상기관을 선정해 현황을 파악했다. 이들 기관이 보유한 전체 시스템 1만5369개 가운데 절반 이상이 내용연수(6년 이상)를 경과한 정보자원(서버, 백업장비 등)을 사용해 시스템 운영 효율이 떨어졌다. 전체 전산실(1049개) 중 60% 이상이 소규모라 지진이나 재해복구·장애 대처 역량이 미흡했다. 1만5000여개 시스템 가운데 이미 클라우드로 전환한 시스템(17%)을 제외한 1만9개를 최종 전환 사업 대상으로 확정했다.

기관 유형과 보안을 고려한 클라우드 전환 기본원칙에 따라 △공공 △민간 △자체운영 클라우드 센터로 전환 대상을 분류했다.

시스템 성격상 △안보 △수사·재판 △내부업무 등 중요정보 처리시스템은 행정안전부가 지정하는 공공클라우드센터로 전환한다. 공공클라우드센터 이용대상을 제외한 모든 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증하는 민간클라우드센터로 이전한다. △법령상 △시설제어 △CCTV 등 특정장소에서 운영이 필요한 시스템은 자체 클라우드센터(프라이빗)를 이용한다.

Photo Image
클라우드 센터 분류 기준(자료: 행안부)

◇'공공:민간=54:46' 채택

공공클라우드센터는 대상을 세분화했다. 중앙부처 시스템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전·광주)에 우선 배치한다. 지자체는 △자체 센터 △민관 협력형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등에 광역 단위로 나눠 이전한다. 공공기관은 내년 초 문을 여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에 우선 배치하고 공공물량 수용공간이 부족한 경우 신규 센터에 분산 배치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용 공공클라우드센터는 대구센터 개소 시기(2022년)를 감안해 올해 지정을 보류하고 내년 이후 수용 부족공간을 신중히 검토해 지정할 것”이라면서 “지자체는 민간 건물·설비 등을 활용하는 민관 협력모델을 발굴해 지자체를 위한 수용 공간을 확보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클라우드센터는 과기정통부 보안인증을 획득한 민간 기업이다. 공공이 원한다고 모든 시스템을 민간클라우드센터로 이전할 수는 없다. △국가 안보와 관련된 비밀, 국가안전, 국방, 통일, 외교·통상 등 국가 중대 이익 관련 정보 처리 △범죄 수사, 진행 중인 재판, 형의 집행, 보안처분 등 수사와 재판에 관련된 정보 처리 △행정기관의 내부 업무처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민간클라우드센터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외 시스템은 정부 인증을 받은 민간 기업으로 시스템 이전이 가능하다.

이 같은 기준에 따라 행안부가 1만9개 시스템 대상 전환 계획을 조사한 결과 54%가 공공클라우드센터, 46%가 민간클라우드센터로 이전을 택했다. 올해 전체 이전 대상 시스템(430개) 가운데 민간클라우드센터 이전 비율은 4.2%로 낮다. 내년 27.9%로 상승 후 2025년 최종 46%에 도달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초 정부가 조사했을 당시 민간으로 이전 계획 비율이 22.8%에 그쳤던 것에 비해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시스템 가운데 절반가량이 민간으로 이전을 택했다는 것은 긍정 신호”라면서 “다만 2025년 최종 46% 목표에 도달할지는 실제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봐야하기 때문에 낙관적으로만 볼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클라우드 전환 목표(자료: 행안부)

◇내년 프로젝트 규모 최대…기업간 경쟁 치열

행안부는 올해 500억원가량 예산을 투입해 430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계획에 따르면 내년이 규모와 예산면에서 가장 덩치가 크다. 2999억원가량을 투입해 3151개 시스템, 1만7596개 서버를 클라우드로 이전한다. 전체 시스템 50%가 내년에 클라우드 이전을 완료한다.

행안부는 내년까지 전환 비용 일체를 지원하고 2023년부터는 기관에서 응용프로그램 관련 예산을 확보하도록 안내하고 나머지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전 초기 개별 예산확보 등에 따른 기관 부담을 줄여 클라우드 전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민간·공공 클라우드센터 이용 시 초기 1년간 이용료를 지원하고 이후에는 기관이 부담한다. 공공클라우드센터에는 최소 규모 장비, 자원 풀 관리도구, 과금 기능 등 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본 인프라 구축 비용을 지원을 지원한다. 기관 재정여건을 고려해 차등적으로 구축 비용을 지급한다.

내년부터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공공 시장을 둘러싼 업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민간클라우드센터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획득해야한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15년부터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를 시행했다. 서비스형 인프라(IaaS) 인증은 관리·물리·기술 보호조치와 공공기관용 추가 보호조치로 14개 분야 117개 항목을 평가해 기준에 합당한 서비스에 부여한다. 현재까지(6월 기준) KT, 네이버클라우드, 가비아, NHN, 코스콤, 스마일서브, 삼성SDS, 더존비즈온, LG헬로비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10개 기업이 IaaS 인증을 획득했다. 인증 획득을 준비 중인 기업까지 감안하면 IaaS 분야 인증 기업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공공 신규 시장을 놓고 업계 경쟁이 활발해지면서 전체 시장 성장도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 한국IDC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은 전년 대비 25.1% 성장한 1조9548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IaaS 시장이 39.4% 비중을 차지했다. IaaS는 인공지능(AI)와 머신러닝 수요가 늘면서 전년 대비 31.8% 고성장세를 기록했다.

업계는 인증제가 시행된 지 5년가량 지났지만 사실상 공공 시장이 전무했던 만큼 향후 전환 사업에 기대를 표했다. 국내 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는 “내년 본격 전환이 시작되면 공공기관 중심으로 국내 인증 받은 IaaS로 전환을 비롯해 이를 위한 컨설팅, 전환 작업 관련 사업도 다수 발주될 것”이라면서 “업계 전반이 성장하는 계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